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해왕성 궤도를 통과한 파이어니어 10호가 태양계를 벗어난 최초의 우주선이긴하지만 약 99AU(약 1억 5000만km, 지구 - 태양간 거리를 기준으로 만든 단위)까지 간 뒤 통신이 끊겨 이후의 소식은 알 수 없다.혜성의 고향 ‘오르트 구름’ 정말 있을까아폴로 우주선을 타고 달에 갔던 우주인들은 지구 ...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등에 산다햄버거 가게 홍보대사? 호좀매미 친구, 참깽깽매미매미를 잘 아는 독자라면 9월에 이 매미를 소개하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다. 7월부터 나오기 시작해 8월에 가장 번성하기 때문이다. 이유는 호좀매미와 함께 소개하기 위해서다. 이 두 종은 크기와 소리 등이 크게 다르지만 ... ...
- 다이얼 '333'을 돌리고 "백투더퓨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표지 주인공으로 내세우며 혜성같이 등장했다. 과학동아는 333호를 발행하기까지 27년 9개월째 과학기술 소식을 전해왔다. 과거로 돌아가 과학동아 1호부터 살펴보니, 현재는 이미 오래전에 그려놓은 모습이었다.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서핑을 하고, 맞춤의학으로 암 정복에 도전한다. 우주선을 타고 ...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과학동아 l2013년 09호
- 9월, 11월에 걸쳐 총 3부작의 논문을 학 술지 ‘철 학 회보’에 발표 했다.그 중 9월에 발표한 논문 ‘원자핵이 하나인 계’에는 오늘날 우리가 ‘보어 모형’이라 부르는 원자에 대한 개념이 들어있다.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의 원궤도 반지름이 특정한 값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바로 보어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그 후그렇다면 보어의 ‘위대한 3부작’을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1913년 9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헤베시가 아인슈타인에게 보어의 3부작에 대해 묻자, 아인슈타인은 “엄청난 성과이며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라고 추켜세웠다. 독일의 아르놀트 조머펠트도 ... ...
- 실감형 스마트워크 - 회사는 일주일에 한 번만 간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하는 도중 그만 장염에 걸린 기자. 출근길 몸이 천근만근 무거운데 어찌하랴. 과학동아 9월호를 만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출근길로 올랐다.만약 집에서도 회사에 출근한 것과 같이 일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시스템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사실 스마트워크는 이미 곳곳에서 쓰이고 있다. 다만 아직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능력 : 인간의 몸과 인간의 능력 : 신의 몸과 신의 능력 : 신의 몸과 인간의 능력인 후손이 9 : 3 : 3 : 1의 비율로 나타난다.미궁에 대비하라!아버지께 편지를 받았어! 그런데…, 미궁에 대비하거라? 엥? 달랑 이게 끝이야?너무 실망하지 마. 신들은 원래 자식들에게 냉정한 법이야. 하지만 널 걱정해서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아가씨군. 좋아. 이곳은 10개의 방으로 구성돼 있네. 방금 거울의 방을 통과했으니 앞으로 9개의 방을 더 통과해야 하지. 자네들이 늑장을 부리는 이 순간에도 시간의 붕괴는 계속되고 있어. 아직 여기까지 그 영향이 미치지 않고 있지만, 시간 문제겠지.”폴이 고개를 갸웃거리며 물었다.“그런데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수확량 500kg/1000m2를 적용하면 342m2의 공간이 필요하다. 열차 1칸의 면적이 70m2이므로 4.9칸, 즉 5칸이 필요하다.그렇다면 고기는 어떨까. 앞서 꼬리칸 승객 수를 2000명으로 계산했으니 이번엔 열차 내 전체 승객 수를 5000명이라 가정했다.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 35kg을 기준으로 계산의 편의를 위해 ... ...
- [9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청소년 기자의 기사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세 편을 뽑았습니다. 기사 전문은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