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뉴스
"
끝
"(으)로 총 3,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보다 100경 배 밝은 빛으로 1000조분의 1초 분자 움직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이처럼 강력한 빛을 낼 수 있는 것은 전자의 특성과 자석 덕분이다. 가속기 한쪽
끝
에 설치된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710m 길이의 선형 가속기를 지나면서 빛의 속도로 빨라진다. 전자빔은 다시 영구자석이 만든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뱀이 기어가듯 좌우로 진동하는데, 이때 전자가 급격하게 ... ...
람보르기니 에고이스타 “전투기를 닮은 이기적 수퍼카”
동아닷컴
l
2013.05.13
날 깜짝 공개했다. 에코이스타(Egoista)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수퍼카를 향한 욕망의
끝
을 보여주는 콘셉트카는 운전석 뒤에 탑재된 가야르도 대표 엔진인 5.2리터 10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출력은 기존 가야르도 엔진의 570마력보다 30마력 높은 600마력이다. 군용 헬기인 아파치(Apache)에서 영감을 얻어 ... ...
[채널A] ‘아빠 어디가?’ 각양각색 아빠, 아이에게 어떤 영향 미칠까
채널A
l
2013.05.10
나이가 많은 아빠는 자녀에게 텔로미어가 긴 유전자를 물려줍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
부분을 말하는데 이 부분이 길수록 노화가 느리게 진행돼 오래 살게 됩니다. 딸바보 아빠, 딸 사춘기 늦춘다 미국의 한 연구 결과, 유치원 때부터 아빠와 사이가 좋은 여자 아이일수록 사춘기가 늦게 ... ...
그녀가 발견한 거대한 흑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5.09
주위 밝은 빛을 배경으로 윤곽이 뚜렷한 검은 성운으로 보인다. 그런데 말머리의
끝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약간 흐릿하다. 성운 안에서 별빛이 새어나오는 탓이다. 이제 갓 태어난 아기별이 강보에 싸인 채 세상 빛을 보려고 작은 눈을 살짝 뜨고 있는 것이 아닐까. 허블우주망원경이 적외선으로 ... ...
현대인의 필수품 휴대폰이 벌써 불혹?
동아사이언스
l
2013.05.08
37%, 스마트폰 사용자의 58%에 달한다. 기지국도 곳곳에 설치돼 이제는 대한민국의 동쪽
끝
독도에서도 LTE로 접속 가능하다. 통신기술이 발달할수록 휴대전화의 성능도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전화에 이어 컬러 화면을 탑재한 기기도 등장했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 ...
국민대 국민프런티어 특별전형으로 경영학부 합격한 박준영 씨
동아일보
l
2013.05.07
0명 가까운 사람의 서명을 받고 인근 상인을 일일이 찾아다닌 경험, 구성원들과 소통하며
끝
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경험 등에서 박 씨의 도전정신이 드러났다. 김 입학사정관은 “‘불가능에 맞서는 도전정신을 길렀다’ ‘문제점을 혼자 짊어지는 게 아니라 구성원과 함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을 ... ...
달짝지근한 것이 땡기는 박쥐, 관찰하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미세한 돌기들이 많이 생긴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박쥐가 혀를 길게 뻗을 때
끝
부분에 혈류량이 증가해 미세한 돌기들이 부풀어 오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사람들이 성관계시 남성의 성기에 피가 몰리는 것과 같은 원리라는 말이다. 이 같은 전략은 혀나 신체관을 통해 ... ...
잠들지 않는 도시 '잠들게' 만드는 조명등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모양으로 비취면서 바닥과의 각도를 줄인 것이다. 연구진은 가로등을 도로 한쪽
끝
에 세울 경우, 렌즈의 각도를 조절해 빛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나오게 만들어 빛이 새지 않게 했다. - 대만국립중앙대 제공 연구진이 개발한 LED 가로등은 빛이 거의 새어나오지 않아 에너지 낭비가 2%에 ... ...
곤충 겹눈 모방 ‘초광각 카메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3
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광각렌즈가 필수다. 그러나 이렇게 찍은 사진에도 문제는 있다.
끝
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길쭉해지고 휘어지는 왜곡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최근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카메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인 과학자가 이끌고 있는 국제 공동 연구진이 곤충의 ... ...
알랑가몰라? 수영하는 티라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3.05.03
다리 길이 1m 가량의 두 발로 걷는 육식 공룡이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육식 공룡이 발톱
끝
으로 강바닥을 짚으면서 노를 젓는 원리로 앞 다리를 움직이며 수영했다는 얘기다. ▲ 강바닥에 남은 육식 공룡의 발톱 자국 화석 - Xing Lida 제공 이 화석의 발톱 자국은 티라노의 발톱과 유사하다고 연구팀은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