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뉴스
"
끝
"(으)로 총 3,24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대석]“요즘 학생들 약골… 체력장 부활해 억지로라도 운동시켜야”
동아일보
l
2013.04.25
시도” - “안철수, 밖에서 돈 안벌고 집안 음식만 먹나” - 뺑소니 사고 속 태어난 아기
끝
내 숨져 - “北해주서 작년 5월 폭동…보안원 2명 사망” - [화보] ‘톱모델’ 미란다 커…상반신 누드 화보 [관련 뉴스] - [초대석]위안부소녀상 앞 ‘봉선화’ 연주… 노무라 모토유키 목사 - [초대석 ... ...
[대한민국 새 심장이 뛴다] 서울 가산동 LG전자 연구센터 현장
동아일보
l
2013.04.25
시도” - “안철수, 밖에서 돈 안벌고 집안 음식만 먹나” - 뺑소니 사고 속 태어난 아기
끝
내 숨져 - “北해주서 작년 5월 폭동…보안원 2명 사망” - [화보] ‘톱모델’ 미란다 커…상반신 누드 화보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 ...
[미래창조 기업]신소재식품 개발해 세계시장 공략한다
동아일보
l
2013.04.25
시도” - “안철수, 밖에서 돈 안벌고 집안 음식만 먹나” - 뺑소니 사고 속 태어난 아기
끝
내 숨져 - “北해주서 작년 5월 폭동…보안원 2명 사망” - [화보] ‘톱모델’ 미란다 커…상반신 누드 화보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 ...
“천재가 별건가… 치열하게 생각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아니든 누구나 몰입 비법을 사용한 흔적이 보인다”고 했다. 실제로 아인슈타인은 ‘
끝
도 없이 생각하는’ 사고실험으로 유명했으며, 빌게이츠는 한 해 경영방침을 세울 때 1주일 이상 별장에 틀어박혀 생각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후편도 출간돼 있다. ‘몰입 두 번째 이야기’라는 ... ...
[신나는 공부]고입 자기주도학습전형… 5대 오해와 진실
동아일보
l
2013.04.25
생각한다. 예를 들어 ‘수학 성적이 잘 나오지 않았는데 학습플래너를 작성하며 노력한
끝
에 성적이 향상됐다’는 내용을 쓰는 식이다. 하지만 자기주도학습 영역이라고 학습 관련 내용만 써야 하는 건 아니다. 이영수 하나고 입학담당교사는 “대부분의 지원자가 학습과 관련된 비슷한 내용을 쓰다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슬릿1이 열리고 이어서 슬릿1과 2를 다 열고 다음에는 슬릿1이 닫히고 슬릿2만 열리고
끝
으로 슬릿이 다시 닫힌다. 이때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가 슬릿을 통과해 스크린에 도달하는 분포를 전자 입자 하나도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검출기로 측정한 것. 위쪽 사진 중 왼쪽은 슬릿이 이동함에 따라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러시아 유성체 폭발 현장을 영상으로 보면서 ‘그래 저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쳤다.
끝
으로 퉁구스카 사건을 묘사한 부분 일부를 옮겨놓았다. “1908년 6월 30일 아침은 구름 한 점 없이 화창했다. 아침 8시 집 앞 계단에 앉아있던 농부 세르게이 세메노프는 하늘에서 엄청난 폭발을 목격했다. 훗날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처럼 하젠욀도 사고실험을 통해 흑체복사와 질량의 관계를 연구했다. 하젠욀은 양
끝
이 흑체인 속이 빈 원통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고 이를 정지한 관찰자가 바라본다고 가정했다. 이 경우 원통의 이동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의 파장은 짧아지고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의 파장은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암허스트대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공부한 우즈는 기하학 문제를 증명하고 ‘q.e.d.(증명
끝
)’라고 쓸 때 행복감에 빠져드는 성향으로 생물학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당시 강사였고 훗날 저명한 저온물리학자가 된 빌 페어뱅크가 “너는 물리학 말고 지금 뜨는 분야인 생물리학을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는 1673년 불과 27살에 영국 런던왕립학회 회원으로 뽑혔다. 라이프니츠의 아이디어는
끝
이 없었는데 그는 완벽한 ‘보편 기호’ 체계를 만들면 우리의 모든 사유 과정을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 어떻게 보면 라이프니츠는 디지털 컴퓨터의 핵심 개념을 모두 생각해낸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