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조이 베어 연구원과 리차드 토마스 연구원이 1964년 ‘네이처’에 발표한 기고문에서 처음 등장했다(doi: 10.1038/201993a0).식물은 발아 과정에서 기름을 분출하는데, 이 기름은 주변 흙이나 바위 틈 사이에 모인다. 연구팀은 비가 내리고 마르는 과정에서 기름이 공기 중으로 분출돼 나는 냄새가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박사팀은 좀비가 언제 들이닥칠지 알아내기 위해 몇 가지 가정을 했다. 우선 좀비가 처음 발생한 장소를 시체가 있는 병원이나 무덤이라고 가정했다. 또 좀비는 일반인보다 걸음이 느리고, 절대 뛰지 않는다고 설정했다. 그 다음 좀비의 걸음걸이를 수학적으로 나타냈다.연구팀은 좀비가 마치 술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지요. 파이 데이‘파이 데이’는 새 학기가 시작되고 가장 처음으로 할 수 있는 수학체험활동입니다. 3월 14일이 바로 원주율 ‘π’를 기념하는 파이 데이거든요. 동아리 학생뿐만 아니라 교내 모든 학생들이 기대에 부풀어서 기다리는 날이기도 합니다. 왜냐고요? 먹성 ... ...
- [과학뉴스] e라이프(eLife)과학동아 l2016년 07호
- 5년 기준)로 높아 생명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알짜로 통한다.e라이프는 저널계의 금수저다. 처음부터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독일 막스플랑크 협회, 영국의 웰컴트러스트생어연구소의 도움을 받았다. 2012년부터 5년간 1800만 유로(237억 원)를 지원받았고, 올해 6월 1일에는 250 ... ...
- [과학뉴스] 우주팽창, 예상보다 빠르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우주가 기존에 예측한 것보다 최고 9% 더 빨리 가속팽창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등의 공동연 ... 어릴 수도 있다는 뜻도 된다. 연구결과는 6월 9일 논문 수집 웹사이트 ‘아카이브’에 처음 공개됐고 학술지 ‘천체물리학’에 게재될 예정이다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많은 무인 우주 탐사선이 목성에 다가갔지만, 이렇게 가까이 다가간 탐사선은 주노가 처음이다.목성은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있다. 지구에서 목성까지의 거리는 최소 6억2800만km에서 최대 9억2800만km에 이른다. 그럼에도 목성을 탐사하고자 하는 이유는 목성이 여러 가지로 특이한 행성이기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에너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NADH와 FADH2를 만든다. 꼬리잡기를 하듯 마지막 물질을 처음 물질로 바꿔 끊임없이 회로를 돌린다. 암 세포는 TCA 회로를 교묘히 조절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세포를 조절한다(4파트).3단계 양성자를 퍼내라, 전위차를 만들어라TCA 회로에서 만들어진 NADH와 FADH2는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다”고 말했다.3. 그라목손의 비극, 파킨슨병파킨슨병과 미토콘드리아의 관계가 처음 밝혀진 것은 1983년이다. 헤로인에 중독된 이들이 급성 파킨슨병에 걸렸는데, MPTP라는 화학물질이 원인으로 드러났다. MPTP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전자전달 복합체 I(이하 복합체 I)의 기능을 저해한다.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동물도 있었는데, 이들이 지나가고 나면 시체들이 특이한 모양으로 훼손돼 있었다. 처음엔 시체의 팔다리에 구멍이 뚫리더니 그 다음엔 피부와 뼈만 남고 팔다리가 텅텅 비어버렸다. 마치 구멍으로 근육만 빼내 간 듯 불가사의한 일이었다. 시체를 덮은 비닐 위에 무거운 돌을 올려놓거나 철망을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학습한 결과, 약 75%의 정확도로 고양이 사진을 가려낼 수 있었답니다. 딥러닝의 개념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컴퓨터가 학습을 통해 어떤 결과물을 내놓을지 확신할 수 없었어요. 하지만 이제 딥러닝은 알파고뿐만 아니라 일상적으로 쓰이는 IT 기술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됐지요. 구글 ... ...
이전3183193203213223233243253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