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딸일 확률을 묻는 문제를 ‘두딸 문제’라고 한다. 단순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이 문제가 처음 등장한 1959년 이래로 두 가지 답이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수학 문제에 어떻게 답이 두 개일 수 있을까.얼굴 안다고 확률이 바뀌어?여기까지만 보면 두 질문에 대한 답에 특별한 문제는 없는 것 같다. 독자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배지 완성품 중에 유난히 울퉁불퉁한 납땜 자국이 있다면, 그건 아마 그날 납땜을 처음해 본 이의 작품일 것이다. 소프트웨어 설치도 납땜과 함께 동시에 이뤄졌다.마지막 조립과정에도 문제가 생겼다. 물건을 실물로 보고 주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부품은 온라인에 표시된 크기와 실제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망한 미완성 아파트 단지에 죄다 발라 버렸다.봄이 되자, 제비들이 모여 들었다. 처음에는 열 몇 마리, 스무 마리가 모이더니, 곧 백 마리가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2만 마리의 제비가 아파트 단지에 가득 차게 되었다. 우리가 계산한 숫자대로였다. 제비들은 아파트 단지 곳곳에 둥지를 틀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발대식이 시작됐어요. 몇 해씩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계속해온 우수팀들도, 올해 처음 활동을 시작한 신규팀들도 모두 기대감에 가득 찬 표정이었지요.발대식에는 지사탐 대장인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을 중심으로 꾸룩새연구소 정다미 소장과 양서류 연구자인 아마엘 볼체연구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척추 교정 클리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걸리거나 상처가 생겼을 때는 병원에 자주 갔지만, 척추를 살펴보기 위해 병원을 찾는 건 처음이었지요. 척추는 우리 몸의 뒤쪽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목뼈, 등뼈, 허리뼈, 엉치뼈, 꼬리뼈로 이루어진 기다란 구조물이에요. 척추를 가지고 있는 동물을 ‘척추동물’이라고 부르며, 척추의 생김새는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두 번째 문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1637년에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처음 제시한 것으로 ‘a,b,c가 양의 정수일 때, an+bn=cn을 만족하는 3 이상의 정수 n은 없다’라는 정리다. 페르마는 본인이 증명했지만, ‘책의 여백이 충분하지 않아 증명 내용을 적을 수 없다’고 주석만 달아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꿈을 포기할 수 없어 대학에서 물리학을 주 전공으로, 수학을 복수전공으로 택했다.“처음부터 두 학문 모두 전공할 생각이었어요. 하지만 수학보다는 물리학이 더 좋았어요. 앞으로 물리를 공부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했죠. 그런데 왜 대학원에서 수학을 전공했냐고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활동을 해봤지만 이렇게 서로 다른 팀이 또 하나의 큰 팀으로 묶이는 프로젝트는 처음이었어요.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진짜 잡지를 만드는 회사에 다니는 느낌도 들었어요. 정말 재밌었어요!영주여고 학생들의 수학문집 제작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독자 여러분 대부분 ... ...
- [과학동아] 국제비만연구협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카더라’는 그만하고 정확한 연구결과에 주목해보자. 국제비만연구협회지는 1997년 처음으로 발간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비만에 대한 사람들의 고민이 그만큼 오래됐다는 뜻!). 학술지의 영향력을 수치화한 임팩트팩터는 5점대로(2015년 기준), ‘영양과 식이’ 분야에의 77개 학술지 중 7위를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시작 세포내공생도 수평 전달과 관련1959년에 일본에서 처음 관찰된 유전자 수평 전달은, 처음에는 원핵생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려져 왔다. 원핵생물은 핵막이 없고, 유전체 구조가 헐거워 다른 DNA를 받아들이고 후대에 전달하기가 진핵생물에 비해 쉽다. 그런데 2000년대부터 진핵생물에서도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