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툴리 몬스터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붙었지요. 미국의 아마추어 수집가인 프란시스 툴리가 1955년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
처음
으로 발견해 그의 성을 따 이름을 지었답니다.오징어와 닮은 몸통의 모양을 근거로 툴리 몬스터가 연체동물이라고 추측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최근까지도 이 생명체의 정체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어요. 그런데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생체 신호를 흉내 내서 만든다.가상현실은 1930년대에 군사 훈련 시뮬레이션으로
처음
등장한 뒤로 게임과 같은 오락뿐 아니라 교육이나 의료 실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뇌를 속이는 가상현실 치료법가상현실을 말할 때 의료계도 빼놓을 수 없다. 정신의학과에서는 거식증 환자에게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이뤄져 있어 그럴싸했다. 곧바로 수학적인 해석이 달린 댓글이 올라왔다.의문을
처음
제기한 네티즌은 수학적으로는 말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exact 수열의 표기법을 이용한 디자인일 뿐 수학적인 의미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네티즌은 알파벳 하나하나를 집합으로 보고, 알파벳 O를 숫자 ... ...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마녀“지금까지 만난 이 집의 주인들 중 실제 인물은 아마 내가
처음
일 거예요. 이름은 마리아 아녜시. 18세기에 이탈리아에서 태어났고 수학자였어요.”천사는 아녜시에게 정말 마녀인지 물었어요. 마녀라기엔 아녜시가 무척 친절하고 아름다웠기 때문이었어요.“내가 아니라 내가 쓴 수학 책에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정보와 비교해 피해자의 범위를 줄여나간다. 만약 감식 결과가 잘못되면 실제 피해자가
처음
부터 수사 기관의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수사에 큰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법의인류학적 판단은 최대한 깐깐하게 내리는 게 원칙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법의인류학자가 법정에 나가 ... ...
[수학뉴스] 제약회사와 수학자, 힘을 합치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있다는 새로운 소식입니다. 지난 1월호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에서 수학동아 독자와
처음
만난 김 교수와 이메일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Q. 세계적인 제약회사와 함께 신약을 개발하신다고요! 새로 개발하는 약은 어떤 약인가요?우리 몸속 24시간 주기의 리듬을 조절하는 장치인 ‘생체시계’를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생각합니다.”기자는 대학생 시절 새터민 짝꿍과 한 학기 동안 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다.
처음
에는 북한에서 왔다고 얘기해주지 않았지만 가까워지자 마음을 열고 이 사실을 알려줬다. 사실 말투로 인해 이미 눈치를 채고 있었고, 편견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한 학기를 함께 공부하면서 우리가 전혀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힘들었는데, 게임 샐러드는 제가 기획한 걸 더 잘 표현할 수 있어요”라고 게임 샐러드를
처음
써본 소감을 밝혔어요.[드래그 앤드 드롭★대상이 되는 아이콘을 마우스로 끌어다 놓는 방식이다. 아이콘이 놓인 곳에 따라 적절한 작업이 이뤄진다.] 내가 기획하고 디자인한 게임플래피 버드를 만들며 ...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유전자 가위로 큰 기대를 받았다.하지만 지난 7월 NgAgo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처음
으로 나왔다. 사기꾼 과학자를 추적하는 전직 생화학자인 팡 시민이 자신의 홈페이지인 ‘New Threads(xys.org)’에 “NgAgo로 유전자를 자르는 데 실패했다”고 밝힌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영국, 호주, 스페인 등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과학자 겸 상인 안토니 반 레벤후크는 깨알만 한 공간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미생물을
처음
보고 ‘아주 작은 동물(animalcules)’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하지만 미생물 입장에서는 ‘가소롭게’ 들렸을 것이다. 미생물은 지난 35억 년 동안 지구의 주인이었으니 말이다. 동물과 식물이 원시적인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