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인생에서 두 번 겪기 힘든 사고나 무척 행복했던 경험이 아니고서는 새로운 자극이 처음부터 장기기억으로 저장되기는 쉽지 않다.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는 아무 의미 없이 알파벳을 뒤죽박죽 적은 단어를 실험참가자에게보여주고 기억하게 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기억이 점점 ...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실제 세포를 이용해서 폐와 같은 인체 장기를 모방한 ‘인체 장기 칩(Organon-a chip)’을 처음 개발한 곳도 바로 이곳입니다.연구소는 2009년에 스위스의 슈퍼리치 한스요르그비스(Hansjoerg Wyss)가 1억2500만 달러(약 1406억 8750만 원)를 기부하면서 설립됐습니다. ‘생물학에서 영감을 얻은 공학 연구’에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계어와 가까운 만큼 초보자들이 구조를 바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요. 처음 프로그래밍에 도전하는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쓰이는 영어와 다른 독특한 명령어들의 의미를 하나하나 알아가기도 쉽지 않아요.그래서 초보자나 어린 학생도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언어들이 나오기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노을의 친구이자 감시역인 란희도 따라 내린다. 이들이 기숙사 로비에 들어서자마자 처음으로 맞닥뜨린 것은 역시나 수학이다. 노트북 화면에 네모 칸 3개가 떠 있고, 그 안에 1, 2, 3, 4 네 개의 숫자가 차례로 돌아가며 바뀌고 있었다.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해야 하는 수학특성화중학교 입학생은 원하는 ... ...
- [소프트웨어] 레고를 빌려드립니다! 레츠고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권 대표는 1~2주 간격으로 새로운 레고를 찾는 아이의 모습에 적잖이 당황했다고.“처음에는 2~3만원대 레고로 시작했는데 나중에는 아이가 원하는 제품을 사주는 게 부담스러울 지경이 됐어요. 아이들은 아무리 비싼 레고라도 1~2주 정도 가지고 놀고 나면 시들해져서 또 다른 레고를 찾더라고요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한다. 축구공은 정육각형 20개와 정오각형 12개로 이뤄진 준정다면체다.축구공이 처음부터 정교하고 대칭적인 준정다면체였던 것은 아니었다. 축구의 기원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다. 전쟁 중에 상대편 군인의 머리를 차고 놀았던 데서 유래했다는 무서운 이야기도 있고, 돼지 오줌보를 차고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의 문제다’, ‘기기 자체의 스펙이 너무 높아 처음부터 배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설계였다’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상영 교수는 이런 가설에 대해 “모두 가능성이 있지만, 말 그대로 가설일 뿐”이라고 확대해석을경계했지만, 삼성전자가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있었다. 하지만 뇌가 물리적인 힘을 받아 직접적으로 주름이 생긴다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졌다.주름을 알면 주름 잡을 수 있다!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을 때에도 뇌 주름 연구가 도움이 된다. 최근 미국과 영국 공동 연구팀은 대뇌 피질을 180개 영역으로 나눈 다음, 각각의 기능을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많은 정보를 획득해도 한계가 있다. 어떤 사람이 센서에 손가락을 댔을 때, 이것이 처음에 저장한 사람과 다른 사람의 손가락인지, 아니면 같은 사람의 손가락 다른 부위인지를 매번 계산해야 한다.반면에 홍채인식은 홍채 전체의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빠르다. 소홍채륜부터 대홍채륜 사이에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Research Council·MRC)가 1947년에 세운 분자생물학연구소는 영어 약자로 ‘LMB’라고 불린다. 처음에는 캐번디시연구소 안에 설치한 연구 그룹이었지만, 곧 다양한 성과를 내며 독자적인 연구소로 성장했다. 기자가 LMB에 주목한 이유는, 2000~2015년 사이 노벨상 수상자 6명의 핵심 논문에 LMB가 언급돼 있기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