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형
부문
타입
양식
형식
품종
장르
뉴스
"
종류
"(으)로 총 3,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중독의 계절… 냉장고 너무 믿지 마!
동아일보
l
2015.06.29
일반 장염보다 증세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편이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의
종류
에 따라 증세와 위독성에도 차이가 있다. 흔히 알려진 식중독 원인균 중에는 살모넬라균이 있다. 이 균은 여름철 닭고기, 계란, 생선 등에서 주로 발견된다.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면 12∼24시간 후 심한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침입한 이물질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조절T세포라는 또 다른
종류
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조절T세포는 전투부대원인 조력T세포나 세포독성T세포와는 달리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급증하는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 같은 면역계 과민 질환의 배후에는 ... ...
“감염 발생 즉시 병원名 공개… 환자거주 洞까지 밝혀야”
동아일보
l
2015.06.22
병동문화 개선’(34.3%)도 메르스 사태의 재발을 막는 데 필요한 조치로 꼽혔다. 다양한
종류
의 환자들이 별도의 조치 없이 방치돼 있는 응급실, 기본적인 감염 예방 조치도 지키지 않는 병원 시스템이 메르스 확산을 유발했다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났다. 여러 환자가 함께 머무는 다인실 역시 얼마나 ... ...
“감염병 언제든지 재발… 질본 역량부터 키워야”
동아일보
l
2015.06.22
처음 발견된 출혈열성 감염병·11.4%) 순으로 위험성이 크다고 밝혔다. ‘모든
종류
의 출혈열 관련 감염병’ ‘변종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호흡기 관련 감염병’ ‘뎅기열’ 등 기타(22.9%) 의견을 밝힌 이들도 많았다. 수년 내 주요 감염병이 유입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35명 중 34명(97.1%)이 “높다”고 ... ...
음악은 왜 우리를 춤추게 하는가
2015.06.21
노래를 들으며 고개를 신나게 흔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빠르기 만큼이나 음악의
종류
도 영향을 미친다. 어떤 리듬의 음악이 사람들의 춤 욕구를 가장 자극하는지 분석한 흥미로운 연구도 있다. 마리아 위텍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팀은 사람들이 춤을 추고 싶어하는 음악을 연구해 지난해 ... ...
[메르스 업데이트] 바이러스 제거에 물티슈 효과 있을까요?
2015.06.18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세균과 바이러스는
종류
에 따라 생존 환경이 모두 다르다”면서 “물티슈가 개인위생에 도움은 되겠지만 메르스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없애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세균은 크기가 1~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 ...
킁킁, 냄새맡는 실 나왔다
2015.06.17
모니터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앞으로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가스의
종류
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형근 박사는 “기존의 고체기판 가스 센서와는 달리 유연하면서도 실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는 섬유를 기반으로 개발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일상생활에 큰 ... ...
“C형 간염 치료제, 환자 면역력 높여줘 효과”
동아일보
l
2015.06.15
아직 준비되지 않은 탓도 있지만, 실제로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제
종류
가 많지 않다. 한 전문가는 “한 번 유행하고 난 뒤 언제 다시 유행할지 몰라 예측이 어렵다는 점도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지원을 더디게 한다”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의 백신 개발이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신종 인플루엔자는 둘 다 H1N1이며 아시아독감은 H2N2, 홍콩독감은 H3N2다. H와 N의
종류
는 각각 16개와 9개이기 때문에 독감 바이러스는 이론적으로 144가지나 나올 수 있다. 그중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불리는 H5N1 바이러스는 2003∼2007년 278명을 감염시켜 그중 60%인 168명의 목숨을 앗아갈 정도로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이렇게 지리적 차이가 있는 만큼 남극과 북극은 기온도 차이가 나고, 살고 있는 생물
종류
도 다를 수밖에 없어요. “남극엔 ‘남극개미자리’나 ‘남극종새풀’처럼 키가 작은 식물들이 살고 있지요. 남극은 사막보다 건조하고 춥기 때문에 키가 작을수록 살아남기에 유리하거든요. 수분을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