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척수손상, 파킨슨병 줄기세포로 치료한다…日 잇따라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고 증식이 잘되면서도 피부세포를 활용하는 만큼 생명윤리나
면역
거부반응 문제에서 자유롭다. 일본은 iPS세포를 개발해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교수를 필두로 관련 의약품과 치료법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2013년 첫 임상시험 후 ... ...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양을 인위적으로 늘리자 NK 세포가 몰려들어 손상된 신경 말단을 제거했다”며 “
면역
치료법이 만성 통증의 근본적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10년이 넘는 긴 노력 끝에 얻은 결과다. 오 교수는 "제1저자인 알렉산더 데이비스 연구원이 박사후연구원으로 온 2008년부터 ... ...
美연구팀, 치매의 또 다른 원인으로 피브리노겐 누출 지목
2019.02.06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항체를 개발한 바 있다. 이 항체를 치매 모델 쥐에 투여한 결과
면역
세포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뇌의 염증과 신경 손상이 억제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치매 또는 다른 신경질환에서 나타나는 인지기능 저하의 원인과 치료법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 ...
스트레스도 가족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도마뱀의 경우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아도 더 튼튼한
면역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면역
반응이 이전 세대가 경험했던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랭킬드 교수는 “세상이 변화하며 인간과 동물이 맞닥뜨리는 것과 같은 스트레스를 받을 상황이 많아지고 있다”며 “그 어떤 ... ...
구제역 지역에 백신 또 놓는 이유는 ‘집단
면역
’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개체별로 차이가 있게 마련”이라며 두세 번 반복해서 접종을 하면 집단의 전체적인
면역
력이 높아지기에 긴급접종을 한다”고 설명했다. 백신은 두 차례에 걸쳐 맞으며 보통 1차 접종 뒤 4주 뒤에 다시 맞는다. 접종 뒤 구제역 발생률이 떨어지기까지 소는 2주, 돼지는 3주 정도 걸린다. 구제역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관련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은 암 오가노이드 개발은 일부 진행중이지만,
면역
치료제는 아직 활발하지 못하다는 게 생명연의 진단이다. 육지를 넘어 바다까지 진출한 플라스틱 폐기물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미생물에 의해 빠른 속도로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이 시급해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메시지를 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썼다. 홍역을 앓고 난 뒤 나타나는
면역
억제(기억상실) 현상이 기억B세포의 감소(빨간색) 때문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동물(마카크원숭이)실험 결과가 2012년 나왔다. 반면 홍역바이러스에 대한 기억B세포는 지나치게 많다(녹색). 지난해 네덜란드의 ... ...
日, 척수손상 줄기세포치료 첫 승인…"불완전 임상"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증식시킨 뒤 제제로 만들어 환자 정맥에 주사한다. 환자 본인의 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면역
억제제가 필요없다. 주입된 줄기세포는 손상된 신경의 재생을 촉진해 환자의 지각과 운동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척수손상용 줄기세포치료제가 치료 효과 근거가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우리 연구실에서는 6종에 달하는 25만여개의
면역
세포를 관찰 중이다”며 “이를 통해
면역
세포의 반응 과정을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 외에도 홍쿠이 쩡 미국 앨런 뇌과학 연구소 수석연구원이 뇌의 신경세포 간 연결을 단일세포단위까지 보여주는 전자현미경을, ... ...
'백신접종은 反자연주의' 그릇된 신념이 홍역이라는 유령을 되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교정하는 폴리머레이스 효소가 없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많이 생긴다”며 “이는 숙주의
면역
계를 피해 살아남기 위한 바이러스의 생존전략”이라고 말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를 감염시키고 증식하는 데 필요한 수용체(헤마글루티닌)와 효소(뉴라미니데이스)에 변이가 잦아 이를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