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다세포동물 화석
과학동아
l
199101
이 생물은 지름 1㎝의 크기로 말미잘과 비슷하게 생겼다.몬테리오주 퀸즈대학의 가이너
본
교수는 이 동물의 몸이 물컹물컹했으며 위쪽은 열려있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생존시기는 선캄브리아기의 마지막 빙하기 이전.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다세포동물은 선캄브리아기 이후에 살았던 에디아카라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01
어미새는 아홉마리의 새끼를 보살피다 지쳐서 숨이 넘어가고 있었다. 불쌍한 새끼들을 못
본
체 해 버리면 모두 죽을것 같아서 관리들은 새끼들을 품에 안고 내려왔다. 관리들은 한 사람이 한마리씩 집으로 가지고 가서 정성스럽게 기른 뒤 큰 새가 됐을 때 그들의 보금자리로 돌려 보냈다. 그랬더니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12
통해 이루어졌다. 이 병원성 단백질의 분자량은 2만7천~3만 정도였다. 단백질의
본
질은 시알로당단백질이었다. 그 외관은 대개 둘 내지 네 가닥의 섬유모양구조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프라이온의 진단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사람에게서 발견되는 이와 흡사한 질병이 앞에서 이야기한 '쿠루병 ... ...
날씨와 심리변화 관계없다
과학동아
l
199012
특별히 고안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어냈다. 각 환자의 답안을 통계적으로 처리해
본
결과 예상했던 바와 달리 월별(계절적)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요일마다의 심리변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즉 대부분의 환자가 화요일과 목요일에 압박감을 많이 느끼며 일요일에는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12
절멸(絶滅)돼 지구에서 사라진 남아프리카 당나귀, 즉 구아가(Guagga)의 1백40년전 박제표
본
으로부터 이 동물의 DNA 일부의 지문을 채취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또 이 DNA를 유전공학적으로 재조합하는데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는 이미 절멸된 고대 생물의 유전정보를 현생생물의 생체내에서 ... ...
촛불 앞에서
과학동아
l
199012
아래위가 훤하게 뚫려 있고 잡기도 편한 내 것이 좋다. 3 정전이 되었을 때 초를 켜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초의 모양은 무척 다양하지만 한결같이 심지를 가지고 있고 또 거기다 불을 붙이면 환한 불꽃을 일으키며 탄다. 그러나 파라핀에 직접 불을 붙이려고 해도 불이 붙지 않는다. 왜 심지가 없으면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12
좀 더 느긋하게 기다려야 그 혜택을 볼 수 있을 것 같다.차기 소장에 관심이 쏠려미국 일
본
유럽 등 19개국에 국제특허를 출원중인 인공씨감자의 대량생산기술(정혁박사팀)은 주먹만한 크기의 천연씨감자를 콩알만한 크기로 줄여 놓았다. 따라서 보관 수송하기 쉽고 병충해와 바이러스 감염이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12
드러내고 있다. 이것이 15세기 초 지도제작술의 한계였다.중국지리학사의 권위자인 일
본
의 아오야마(青山定雄)는 이 지도를 가리켜 동양최초의 우수한 세계지도라고 평가했다. 물론 이 지도의 가장 큰 결점은 중국과 조선을 너무 크게 그려 아시아대륙과 유럽 및 아프리카대륙 간의 균형이 잡히지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11
한의학이 세계의학으로 발돋움하려면 여러 자연과학분야와의 교류가 필요하다. 일엽지추(一葉知秋)라는 말이 있다. 떨어지는 나뭇잎 한 잎으로 가을이 온 것을 안다는 뜻으로 자연의 변화는 ... 노력과 땀의 결과라고 생각하며, 21세기에 사는 젊은 한의학도로서 도전의 꿈을 키워
본
다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11
양성자와 중성자에 내부구조가 존재한다는 분명한 증거를 밝혀냄으로써 물질의 기
본
구조를 해명하는 연구에 박차를 가했다는 것. 소립자연구는 69년 겔만이 '쿼크에 대한 가설'로 수상한 이후 노벨물리학상의 단골 메뉴가 됐다.시카고출신의 프리드먼과 보스턴 태생의 켄들은 현재 MIT교수로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