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헛된 저항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다른 쪽 끝으로 전자들이 움직이면 전류가 흐르게 되지요. 그런데 어떤 도체라도 전기가 100% 통하지는 않아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이 있기 때문이에요. 저항의 크고 작은 정도를 저항값이라고 하고, 옴(Ω)이라는 단위로 적어요. 저항값이 작으면 전류가 많이 흐르고, 저항값이 크면 전류가 ...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4호
- 우리나라에서 가장 사랑받는 애완견은 무엇일까요? 늑대개과의 포유류로 몸길이 100∼130㎝에 몸무게 25~45㎏이며, 육식성으로 10여 마리가 떼지어 숲에서 생활하는 동물이다.늑대에서 푸들까지, 애완동물의 역사에이~! 애완견의 조상이 늑대라니 말도 안 돼! 너희는 조그만 몸집에 힘이 없어 보이지만, ... ...
- 캐나다 숲을 지키는 수호신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이승준(인천 용현남초 5)난 엄청나게 큰 나무들 가장 기억에 남아. 나무들의 나이가 100살이 넘은 것은 보통이고, 어떤 나무는 1000살이 넘은 것도 있었지. 난 이렇게 크고 많은 나무들을 도대체 누가 돌보는 것인지 궁금해졌어. 알아 보니 나무는 자원봉사자들이 가꾸는 거래. 교육을 받으면 누구라도 ... ...
- 러시아 로켓박사 '대충쏴도 나르노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로켓으로, 미국의 우주개발 계획을 이루게 한 주인공이다. 2단과 3단로켓이 있으며, 100톤이 넘는 우주선들을 우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알고 보니 업새블라는 역사적인 유명 로켓을 새턴에 실어 우주에 버리려고 하고 있었다. 결정적인 발사의 순간썰렁홈즈가 사건을 무사히 마무리하고 로켓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해조류와 패류의 수도 줄고 있어요. 수온이 따뜻해지면서 먹이가 줄었기 때문이에요. 100년 뒤의 밥상은?"미래의 밥상에 오를 식재료를 가장 먼저 만나 볼 수 있는 곳은 제주도예요. 가장 먼저 아열대 기후로 변하고 있는 곳이거든요. 국립수산과학원 아열대연구센터는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제주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가장 높이 뜨는 하지일 때 100×tan(90°-71.3°)≒34② 1년 중 해가 가장 낮게 뜨는 동지일 때 100×tan(90°-24.4°)≒220따라서 성당 바닥의 자오선에는 34부터 220까지 숫자가 기록돼 있다. θ의 값은 20부터 65까지, 다른한 쪽에는 tanθ값이 34부터 220까지 자연수로 쓰여 있는 것이다. 이 숫자 ...
- 깃털처럼 가벼운 금속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개발한 이 금속은 99.9%가 공기고 나머지 0.1%만 고체다. 밀도가 0.9mg/cm3으로 스티로폼보다 100배나 가볍다. 이 결과는 11월 18일자 ‘사이언스’에 실렸다. 기술의 핵심은 금속의 구조다.연구팀은 니켈 93%, 인 7%의 합금으로 머리카락 두께의 1000분의 1에 불과한 벽을 만들고 그속을 비워 빈 다발을 ... ...
- 두 발로 기록한 새만금 7년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보고서나 기사에서 다뤘다면 어떨까. 보고서는 ‘염생습지는 육지로 변했고, 식물은 100% 갈대로 바뀌었다’라는 두 문장으로 건조하게 기록했을 것이다. 기사 역시 ‘작년까지 퉁퉁마디가 자라던 염생습지가 갈대밭으로 바뀌었다’ 정도로 처리했을 것이다. 한 번 또는 많아야 두세 번 찾아간 ...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숄을 만들려면 먼저 원하는 숄의 너비를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원하는 숄의 너비가 100cm라면, 숄의 높이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숄의 높이는 떠야 할 단수, 너비는 콧수를 의미한다. 숄의 너비와 높이를 구했으니, 이제 게이지를 이용해 숄의 콧수와 단수를 구할 수 있다. ...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중요한 인물 100명’이나 ‘세계의 역사를 바꾼 100명의 과학자’의 명단에 전혀 속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그는 그들의 업적을 대중에게 알려야겠다는 생각에 ‘미친 연구 위대한 발견’ 을 집필했다.그는 미친 연구를 했던 과학자들이 천재로서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