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연구팀은 65마리 아델리펭귄에게 장치를 달아 조사했어요. 이들 대부분은 해수면에서 50~100m 깊이 바다에서 사냥했죠. 이 깊이의 남극 바다는 초저녁처럼 어두워요. 또 제 친구 황제펭귄이 아주 깜깜한 500m 깊은 바다에서 헤엄친다는 사실도 알아냈답니다. 사람들은 천적인 바다표범과 범고래가 ...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있는데, 100보다 높으면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고, 100보다 낮으면 경기가 나빠질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걸 의미한다. 20:00 예쁜 걸까? 안 예쁜 걸까?난 엄마께 소비자심리지수가 103을 넘었으니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거라고 ... ...
- Intro. 지구, 70억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구가 70억 인구 시대를 맞이했다. 1998년 60억 시대를 맞은 지 13년 만이고, 10억 시대를 맞은 지 207년 만이다. 인류 탄생 이후로 잡아도 20만 년이 채 넘 ...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기획 : 윤신영 기자디자인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구 인구가 0에서 70억까지 늘어나는 데 걸린 시간은 20만 년이 채 안 된다. 지구 역사 46억 년, 생물 역사 40억 년에 비하면 그야말로 찰나다. 특히 최근 2000~3000년 사이에 수 ...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Part 4. 미래 100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년 01호
- 20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실험생물학회에서 “지름이 수백 ㎛(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인 세포를 겹겹이 쌓아 압축하면 심장이나 간을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포스텍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팀도 비슷한 연구를 하고 있다. 3차원 구조물을 설계한 뒤 줄기세포와 세포영양분을 쌓아 ...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프롤로그에 이어지는 1파트의 본문은 인포그래픽만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들어가 보세요.http://science.dongascience.com/articleviews/article-view?acIdx=11324&acCode=7&year=2012&page=7“한 끼의 양 ...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국제연합인구기금(UNFPA)은 2011년 인구 70억 시대를 선언하며 80억, 90억, 100억 시대도 함께 예측했다. 80억이 되는 시기는 14년 뒤인 2025년, 90억은 다시 18년 뒤인 2043년이다. 10 ...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Part 3. 공간 섬, 도시, ...
- 근육로봇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들어가 벼룩은 다리를 쭉 편다. 이 방식으로 벼룩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제 몸길이의 100배나 되는 높이를 뛸 수 있다.조 교수는 이 움직임을 본떠 로봇을 제작했다. 뒷다리 근육의 재료로 선택한 것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니켈과 티타늄, 구리 같은 금속을 일정 비율로 섞어 만든 것으로 다른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가장 완벽한 유리구슬이 완성됐다. 이 유리구슬은 내부에 이산화규소 외 다른 물질이 100만 개 중 2개만 있을 정도로 순수하다. 이렇게 순수하고 완벽한 구 모양인 자이로스코프는 우주 상공에서 몇 년 간의 관측을 통해 아인슈타인의 우주가 옳았다는 걸 확인해줬다.그리고 2004년 9월 이 구슬은 ...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쏘면 전자가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다. 기존 전자 가속기의 경우 진공 가속관 100m에서 얻을 수 있는 가속 에너지를 초고출력레이저를 이용하면 1cm 거리에서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초고자장이나 엑스선, 플라스마 연구에도 이 초고출력레이저를 이용하고 있다.“새로운 현상을 처음 발견한다는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