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넣고 섞는다. 물의 양은 불린 오곡 무게의 90% 정도를 준비한다.4. 껍질을 벗긴 고구마 100g을 가로, 세로 1㎝ 정도로 잘라 놓는다.5. 전기밥솥에 불린 오곡, 자른 고구마, 잣 40g, 호두 40g과 준비한 팥 삶은 물을 넣고 밥을 짓는다.6. 밥이 되는 동안 파프리카를 잘 씻어 꼭지 부분에 가깝게 자른 뒤, 속에 ...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거품을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메탄버블의 지름은 600km정도이며 매년 27Mt(메가톤, 1Mt은 100만t)씩 더해지고 있다.지난 2004년 데이비드 데밍 미국 오클라호마대 지구물리학과 교수팀은 거대한 메탄버블을 만난 선박은 침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탐험 저널 ‘사이언티픽 엑스플러레이션’에 ...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혜성 자체나 코마는 보이지 않고 고리만이 화상에 비친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 100만t 이상의 혜성 물질이 가스가 돼 태양 대기와 섞였고, 일부는 태양풍이 돼 다시 행성간물질로 돌아갔다. SOHO가 며칠에 한 번씩 태양에 돌입해 소멸하는 혜성을 관측하고 있다는 점으로 추정하면, 상당한 양의 ...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세포가 실제 신장의 환경처럼 인식하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2010년).“조직공학의 역사가 100년이 넘었지만 이렇다 할 발전이 없었던 건 세포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계라는 인식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서 교수는 자신처럼 전혀 다른 배경과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기존 생물학자들과 힘을 합칠 때 ...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전형에서는 최저 학력 기준으로 쓰인다. 정시 모집에서 수능 성적 반영 비율을 100%로 뽑는 대학도 있다. 그러나 수학능력시험은 객관식 평가이기 때문에 운이 크게 작용하고, 창의력·논리력 등 고등학습 능력을 보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학별고사는 논술, 구술면접, 인·적성 및 전공적성 시험 등이 ... ...
- Part2. 인공 뇌 만들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뇌에서 사고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다. 2011년에는 이런 부분 100개에 해당하는 뉴런 100만 개로 이뤄진 회로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2014년에는 뉴런을 1억 개까지 늘려 쥐의 뇌 전체를 시뮬레이션할 계획이다.연구팀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사람의 뇌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사람의 뇌는 뉴런이 ...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수많은 입자들이 날아다닌다. 태양 표면에서 폭발 현상(플레어)이 일어나면 수소폭탄 100만 개가 폭발하는 것과 같은 상상할 수 없는 에너지가 분출된다. 이와 함께 10억t에 이르는 태양 입자가 우주 공간으로 쏟아진다.시네마에 실린 ‘스타인(STEIN)’이라는 검출기는 이들 입자를 빠짐없이 잡아낸다. ...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동시에 간에 저장돼 있던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면서 혈당수치가 평소의 100배 이상으로 급증합니다. 포도당은 혈관을 타고 주요 장기와 근육으로 이동해 세포 속으로 들어가죠. 세포가 얼지 않게 세포 속을 ‘진한 설탕물’로 만들기 위해서랍니다. 소금물이나 설탕물은 0℃가 돼도 얼지 ... ...
- 거짓말 탐지 MRI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사장은 자신의 회사가 가지고 있는 기술은 거짓말인지 아닌지를 맞추는 정확도가 100%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기 암시를 걸거나 거짓말을 자연스럽게 하는 연습을 해봤자 더 이상 소용이 없다고 말을 이었다. 사람은 거짓말을 할 수 있지만 뇌는 거짓말을 못한다는 것이다.한 번 검사에 600만 ...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처리 속도가 100만 배 이상 빠르다. 반도체로 생각할 수 있는 인공 뇌를 만든다면 뇌보다 100만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생각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만큼 지식을 쌓는 속도도 빠르다. 사람이 평생 걸려도 다 못 배우는 양을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다.기억력도 그렇다. 인공 뇌의 기억 용량을 크게 설계하면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