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용하면 막대한 에너지로 변한다. 이렇게 얻은 에너지 덕분에 태양은 현재의 밝기를
100
억 년 이상 유지할 수 있다.이후, 지구의 암석보다 태양계의 나이를 더 정밀하게 알려준다고 생각되는 운석의 나이를 측정한 결과 태양의 나이가 약 45억 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태양은 자기 수명의 약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형에서는 최저 학력 기준으로 쓰인다. 정시 모집에서 수능 성적 반영 비율을
100
%로 뽑는 대학도 있다. 그러나 수학능력시험은 객관식 평가이기 때문에 운이 크게 작용하고, 창의력·논리력 등 고등학습 능력을 보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학별고사는 논술, 구술면접, 인·적성 및 전공적성 시험 등이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뇌에서 사고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다. 2011년에는 이런 부분
100
개에 해당하는 뉴런
100
만 개로 이뤄진 회로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2014년에는 뉴런을 1억 개까지 늘려 쥐의 뇌 전체를 시뮬레이션할 계획이다.연구팀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사람의 뇌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사람의 뇌는 뉴런이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혜성 자체나 코마는 보이지 않고 고리만이 화상에 비친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
100
만t 이상의 혜성 물질이 가스가 돼 태양 대기와 섞였고, 일부는 태양풍이 돼 다시 행성간물질로 돌아갔다. SOHO가 며칠에 한 번씩 태양에 돌입해 소멸하는 혜성을 관측하고 있다는 점으로 추정하면, 상당한 양의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세포가 실제 신장의 환경처럼 인식하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2010년).“조직공학의 역사가
100
년이 넘었지만 이렇다 할 발전이 없었던 건 세포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계라는 인식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서 교수는 자신처럼 전혀 다른 배경과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기존 생물학자들과 힘을 합칠 때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처리 속도가
100
만 배 이상 빠르다. 반도체로 생각할 수 있는 인공 뇌를 만든다면 뇌보다
100
만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생각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만큼 지식을 쌓는 속도도 빠르다. 사람이 평생 걸려도 다 못 배우는 양을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다.기억력도 그렇다. 인공 뇌의 기억 용량을 크게 설계하면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수많은 입자들이 날아다닌다. 태양 표면에서 폭발 현상(플레어)이 일어나면 수소폭탄
100
만 개가 폭발하는 것과 같은 상상할 수 없는 에너지가 분출된다. 이와 함께 10억t에 이르는 태양 입자가 우주 공간으로 쏟아진다.시네마에 실린 ‘스타인(STEIN)’이라는 검출기는 이들 입자를 빠짐없이 잡아낸다.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장은 자신의 회사가 가지고 있는 기술은 거짓말인지 아닌지를 맞추는 정확도가
100
%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기 암시를 걸거나 거짓말을 자연스럽게 하는 연습을 해봤자 더 이상 소용이 없다고 말을 이었다. 사람은 거짓말을 할 수 있지만 뇌는 거짓말을 못한다는 것이다.한 번 검사에 600만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다. “서울은 1970년대가 돼서야 대도시가 됐습니다. 중국은 1800년대 이미 인구
100
만이 넘는 대도시가 생겨났지요. 도시설계를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서울은 그 변화상을 직접 살펴볼 수 있는 최고의 도시입니다.”도시의 진화는 그 시대의 문화와 사회, 경제 등 모든 변화가 다 얽혀있다. 그 변화를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자면 사람(인공)이 만든 달(위성)이라고 생각 하면 됩니다. 저궤도 인공위성은 약
100
분에 지구 한바퀴를 돌만큼 빠른 속도로 지구 전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적도상공의 인공위성이 도는 속도와 지구의 자전 속도가 같게 되면 지구에서 볼 때 마치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데 그것을 정지궤도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