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인해 부착력이 더 세지기 때문이다.이를 ‘전기 모세관’ 현상으로 불리는 이 기술은
100
여 년 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이 현상은 1V이하의 낮은 전압에서만 발생하고 높은 전압을 걸면 물이 전기분해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1990년 높은 전압으로도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보다 독자의 시각에서 공감대를 이끄는 방향으로 기사 구성을 하는 게 좋다. 특히
100
마디의 설명보다 그림 한 장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음파 진동 원리 설명을 줄이고 이를 표현하는 이미지가 있었으면 훨씬 돋보이는 기사가 됐을 것이다. 두 기사 모두 다소 어려운 과학 원리를 일상 속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mm이고 DNA가닥의 지름이 수 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이므로 나노 뜨개질은 대략
100
만 분의 1 크기로 축소된 뜨개질인 셈이다.그런데 과학자들은 DNA를 이용한 나노 뜨개질에 ‘DNA 오리가미’란 이름을 붙였다. 오리가미(origami)는 종이접기의 일본말로 영어에서 그대로 받아들여 쓰고 있는 단어다.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할 것들이 많다.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조류가 풍력발전기에 부딪칠 수도 있고 높이가
100
m나 될 정도로 워낙 높다 보니 철새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해저 케이블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장과 저주파 소음으로 근처에 살고 있는 동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서식지를 떠날 수도 있다.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즐겨 먹던 소비자들은 배신감을 느낀다는 반응이었다. 그동안 피자 업체 대부분은 ‘
100
% 자연치즈’를 강조하는 광고를 해왔기 때문이다. 일부 소비자들은 ‘가짜 치즈’를 속여서 팔았다며 분노하기도 했다. 그러나 모조치즈가 못 먹을 식품은 아니다. 자연치즈의 맛과 모양을 흉내 내서 만든 건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개발 위성 vs 장거리 미사일 발사북한이 김일성 주석
100
회 생일에 맞춰 4월 12~16일 사이 ‘광명성 3호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혀 국제사회에 파장을 일으켰다. 광명성 3호 발사에 국제 사회가 술렁이는 까닭은 위성 발사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바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리 표면을 훑게 했을 때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하자 요철이 있는 재질일 때 감도가 최대
100
배까지 민감해짐을 확인했다.연구자들은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끝이 물체의 표면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났다. 탐구를 지원하는 대회와 강연,세미나를 찾아 다녔다.친구 두 명과 함께, 연구비
100
만원을 지원해 주는 청소년과학탐구반(YSC)연구과제에 지원했다. 연구주제는 ‘생물정보학과 분자결합모델 및 사회제도학적 측면에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탐구’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떻게 확산되는가는 알아내지 못했다. 근황열병이 모기를 매개로 퍼진다는 사실은
100
년 뒤에나 밝혀졌다.내 귓속에 진드기뉴욕의 수의사 로버트 로페즈는 어느날 귀진드기로 외이염과 가려움증에 시달리는 고양이를 치료했다. 그런데 고양이 주인과 그녀의 딸도 동시에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것을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동시에 간에 저장돼 있던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면서 혈당수치가 평소의
100
배 이상으로 급증합니다. 포도당은 혈관을 타고 주요 장기와 근육으로 이동해 세포 속으로 들어가죠. 세포가 얼지 않게 세포 속을 ‘진한 설탕물’로 만들기 위해서랍니다. 소금물이나 설탕물은 0℃가 돼도 얼지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