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방식으로 레이저 핵융합에 도전하려면 자국 설비에서 쏠 수 있는 레이저의 에너지를 100배 이상 높여야 한다. 좀 더 낮은 에너지의 레이저를 사용해 핵융합을 일으킬 수 없을까.레이저는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집중되는 구간인 펄스를 더 짧게 할수록 순간 출력이 높다. 미국 연구진이 사용한 레이저의 ...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알아보기 위해 장에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의 두께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교수는 “플라스마는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로봇 근육사람보다 3~5배 정도 키가 큰 트랜스포머의 범블비 같은 변신로봇은 팔 하나가 100㎏이 넘어. 이렇게 큰 로봇은 어떻게 움직일까?인간형로봇 관절에 주로 쓰는 전기식모터는 힘이 약해서 몇 ㎏도 들 수 없어. 기름과 압력을 이용해 수백㎏ 정도를 들 수 있는 유압모터는 어떨까? 물총과 비슷한 ... ...
- 5화 속임수 천국 논리나라로!수학동아 l2012년 05호
- 구한 뒤 두 수를 숫자패드에 누르라고? 규칙 찾기네. 하아~, 이런 문제는 약한데….”사형 100% 확률, 속임수에 빠진 폴폴은 피타고라스의 점수를 맞히자마자 뮤클리드에게 소리쳤다.“뮤클리드! 문제를 맞혔으니 피타를 놔 줘!”“그러지. 그런데 왜 네가 난리야? 피타의 주인은 여기 있는데?”“뭐? ... ...
- 달콤함이 가득, 달달공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되는 거야. 우리 몸의 혈액이 달콤하다는 건 알고 있니? 혈액 속에는 늘 80~100㎎/100㎖의 포도당이 들어있는데, 혈액이 온몸을 돌아다니면서 온몸의 세포에 당분을 나눠 준단다. 밥을 먹으면 힘이 나는 이유를 이제 알겠지?미는 단맛 느끼는 미각의 미~♬우리 혀는 여러 가지 맛을 느껴. 단맛, 쓴맛, ... ...
- 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비극이 일어난 지 이달로 100년 됐다. 기억으로 전해오는 사고의 고통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 동안 과학자들은 바다 깊이 가라앉은 타이타닉의 선체를 찾고, 유품을 인양하고, 잠수정을 내려 보내 모습을 촬영했다. 가라앉은 각도와 위치, 재료를 통해 당시 상황도 역추적했다. 과거에만 머무른 것도 ...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기록에 남았다. 그 유명한 타이타닉 얘기다. 타이타닉이 첫 항해에서 바로 침몰한 뒤 100년이 흘렀다. 그동안 온갖 소설, 드라마, 영화의 소재가 돼 왔던 터라 이제는 타이타닉을 모르는 사람이 별로 없을 정도로 유명해졌다.사실 타이타닉은 그 당시에도 유명했다. 타이타닉은 과학과 기술에 대한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20f'를 발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중심별과 거리가 너무 가까워 표면 온도가 1000℃에 육박한다.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희박하다.플랑크는 지금까지 언급한 우주망원경과 다른 파장을 관측한다. 바로 마이크로파다.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다. 우주가 4000℃ 정도로 ...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상징하는 것은 역시 자이언트 거북이다. 200년까지 산다고 알려진 이 거북은 한때 섬마다 100여마리로 줄었을 정도로 멸종 위기에 몰렸다. 암울했던 과거를 잘 보여주는 것이 ‘외로운 조지’다. 외로운 조지는 1971년 겨울 작은 핀타섬에서 발견된 마지막 육지 거북이었다. 같은 섬에서 암컷을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자리를 옮긴 그는 2008년과 2009년에 미국립과학재단(NSF)으로부터 각각 연구비 100만 달러(약 11억 원), 300만 달러(약 33억 원)를 지원받는 두 개의 대형 프로젝트를 이끌게 됐다. 하나는 폴리넬라 게놈을 분석하는 일이었고, 다른 하나는 홍조류의 계통수를 구축하는 ‘Red Algal Tree of Life’ 과제로 5년간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