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개발한 NMR은 분자의 구조나 특징을 파악할 때 사용한다. 자기장을 띠고 있는 곳에 놓인
물질
의 원자핵이 고주파와 만나면 공명현상에 의해 특정 고주파를 흡수하며 에너지 상태가 높은 곳으로 올라간다. 수소핵이 다시 제자리로 떨어지면서 에너지를 전자파 형태로 방출하는데 이를 측정하면 분자의 ... ...
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산소도, 소금도 우리 몸에 들어오는 방법과 그 양에 따라 독이 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물질
이 독이 될 수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그 중 가장 강한 독은 무엇일까. 그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이 독은 어떻게 해독할 수 있을까. 이번 특집에 이 모든 궁금증에 대한 답을 담았다. 지금부터 ‘독한 독’의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납 등 중금속의 독성이 알려지면서 이들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해롭지 않은 다른
물질
로 대치하면서 독에 의한 사고나 살인의 가능성은 줄어들고 있다. 과학의 발전이 독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해주고 있는 것이다.각종 독극물의 검출법이 등장하면서 독으로 누군가를 살해하는 비율은 예전에 ... ...
더블 쓰나미가 일본 덮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고 엄청난 지진과 지진해일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
이 누출되는 최악의 사고까지 일으켰다. 동일본 대지진은 왜 강했을까. 지진해일의 파고는 왜 이리 높았을까. 동일본 대지진을 파헤친 새로운 연구결과를 찾아봤다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핸드볼공만한 실타래에는 길이가 수백m나 되는 털실이 뭉쳐져 있다. 어머니와 누나는 뜨개질바늘이라고 부르는 막대 두 개를 들고 이야기를 나누 ... 대상이지만 새로운 생체조절
물질
로 쓰일 수 있다는 말이다. 생명체가 생명정보를 담는
물질
로 DNA를 선택한 것은 어쩌면 필연이 아니었을까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광합성 시나리오를 쓰고 있는 폴리넬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한천을 비롯해 유용한
물질
을 생산하는 우뭇가사리(홍조류)의 게놈 분석을 한국해양연구원 이정현 박사팀과 진행하고 있는데 이 연구는 그의 은사인 부성민 교수팀과 함께 해 더 뜻 깊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해조류인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빛보다 약 60ns(나노초, 10억분의 1초) 일찍 도착한 사실이 확인돼, ‘빛보다 빠른
물질
(입자)은 없다’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이 무너진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하지만 지난 2월 23일, 연구를 주도한 그란사소국립연구소는 성명을 통해 “오페라팀 연구에서 두 연구소 실험장치 사이의 ... ...
알코올vs에탄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렇다고약국에서 파는 에탄올을 마셔선 안 돼요. 공업용 에탄올에는 몸에 해로운
물질
이 들어 있을 수도 있거든요. 에탄올은 소독을 하는 데 쓰기도 해요. 병원에서 주사를 맞을 때 쓰는 소독솜에는 에탄올이 묻어 있어요. 젤리처럼 생긴 손 소독제에도 에탄올이 들어 있어서 나쁜 병균을 죽이는 ... ...
남극 열수구에서 미지의 생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바다에도 주변 온도가 383℃ 까지 올라가는 열수구가 있어요. 열수구는 바닷속에서 화산
물질
이 분출되는 곳이에요. 그런데 더 놀라운 사실은 이곳에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생명체가 발견된 거예요. 영국 옥스 퍼드대학교 앨릭스 로저스 박사팀은 남극 심해 열수구 근처에서 신종 바닷게와 ... ...
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애벌레가 일 개미가 될지 병정 개미가 될지 정해지기 전에 성장 호르몬과 비슷한
물질
인 ‘에소프렌’을 바른 거예요. 그러자 이 애벌레는 일반 애벌레보다 크기도 컸고, 가슴에는 날개 흔적이 두 개나 생겼답니다. 일 개미나 병정 개미는 날개 흔적이 없거나 하나만 있어요.그렇다면 나도 거인이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