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긴밀한 공동체를 이루며, 수정란이 태아로 변모하는 생명의 발생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7장 진화에서는 생명체가 오랜 세월 동안 어떻게 변하고 적응해가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시간의 속성을 상징한다고 하지요.수요일은 최고의 신 오딘의 날 보세요. 한주일의
마지막
날인 토요일에 배치하기는 한해의 끝자락에 위치하는 ‘동지’라는 이미지, 모든 것을 끝장내는 ‘낫’이라는 이미지와 너무나 잘 맞아떨어지지요. 하여튼 일요일, 월요일, 토요일은 로마 식으로 된 ... ...
②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한다. 거대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자세는 바로 성실함이라는 것.‘
마지막
1초까지 최선을 다하자’는 자세를 삶의 모토로 삼고 있는 박단장은 1987년 귀국 후 자신의 생활이 없어질 만큼 더욱 바쁘게 살아왔다. 한쪽에서 성공하려면 다른 한쪽은 희생해야 하는 것을 당연시 여기기 ... ...
③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이강인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혁신적으로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쓰레기가 아니라 자원입니다”라며 이단장은
마지막
멘트에서도 재활용을 강조했다. 폐캔을 재활용하면 90%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을 비롯해 대부분의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면 70%까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21세기에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일은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공의 진행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슈터가 슛을 하는
마지막
순간 손목과 손가락의 가벼운 스냅으로 공에 역회전을 준 것이다. 왜 농구공에 역회전을 거는 것일까.농구공이 바스켓 뒤의 백보드를 맞는다고 상상해보자. 이때 슛한 공은 백보드와 각을 이루게 된다. ... ...
양자역학 뛰어넘은 플라스틱 LED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다운·업)/√2의 4가지 경우가 양자역학적으로 존재한다. 이때 싱글렛으로 불리는
마지막
경우에서만 전자와 정공이 결합돼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4번에 한번 꼴로 빛을 내는 셈이다. 따라서 양자역학으로 볼 때 빛전환 효율이 최대 25%를 넘을 수 없다.네이처에 발표된 실험은 극저온의 자기장에서 1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명령은 중앙정보처리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결함을 피하며 연산이 가능케 한 것이다.
마지막
으로 소자의 작동 개념이 단순한 0, 1의 논리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양자역학적 에너지 준위의 변화를 기본 소자로 한 양자컴퓨터 논리도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나노소자의 개발은 현재 존재하는 소자의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최근 많이 나왔죠. 매트릭스나 엑시스텐즈 등도 같은 내용입니다. 다만 아바론에서 맨
마지막
장면은 좀 헷갈렸습니다. 주인공이 리얼 클래스로 가서 옛날 팀장을 만났는데, 리얼 클래스가 현실이라면 그 사람이 총에 맞고 죽어야 하는데 마치 게임에서처럼 분해됐잖아요. 그건 감독이 장난친 것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별자리를 직접 그렸고, 나중에는 사령과 별자리를 함께 부위를 맞추어 그리다가,
마지막
에는 사령만을 굉장히 세밀하게 그리는 단계로 변해감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령은 그저 방위를 지키는 신이라기보다는 별자리를 상징하는 것이다.별자리와 함께 잠든 고구려왕그러면 왜 고구려 사람들은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세포 내에서 실제 어떻게 작동해 유전물질을 전달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지는 시기다.
마지막
은 1990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시작돼 게놈분석이 완료된 현재까지다.1856년 오스트리아의 그레고어 멘델이 수도원의 작은 정원에 완두콩을 사용한 유전학 실험을 시작했다. 멘델은 1865년 자신의 연구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