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7대 불가사의 탄생 과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글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원고는 겨우 여섯장에 지나지 않는 짧은 글인데다
마지막
부분도 사라지고 없었다.그때까지 세계의 불가사의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단편적으로는 거론했지만 필론의 세계 7대 불가사의처럼 종합적으로 설명한 것은 없었다. 필론은 많은 책을 저술한 작가로서 ... ...
복제 들소 '노아' 탄생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단지 한마리의 개체를 만들어낸 것에 불과하고 다시 번성할 가능성은 없다. 부카르도의
마지막
개체는 성염색체가 XX인 암컷이었는데, ACT의 과학자들은 수컷 개체(성염색체 XY)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들은 부카르도의 세포에서 X염색체를 하나 제거하고 부카르도와 가장 가까운 종의 ... ...
내장산 단풍이 더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두번째로 하는 일이 겨울준비다. 곧 닥쳐올 매서운 추위에 얼어죽지 않기 위해서 나무는
마지막
준비를 서두른다.엽록소가 파괴되는 과정나무에 붉게 또는 노랗게 아름다운 단풍이 드는 것은 바로 나무의 겨울준비에서 시작한다. 겨울이 다가오면 나무들은 더이상의 생장을 포기한다. 한겨울 동안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기하학적 그림이 새겨졌으며, 그 위에 아주 가는 선각으로 동물과 사람들이 새겨졌고,
마지막
으로 신라시대 사람에 의해 글자가 새겨졌음이 확인됐다.이처럼 한 바위 면에 여러차례에 걸쳐 서로 다른 형태의 그림들이 새겨진 경우는 비교적 쉽게 그림 형식간의 선후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가로지르게 될 것이다. 시간이 더 지나면 폭발해 크기가 작아져 왼쪽 아래로 내려가면서
마지막
에는 백색왜성으로 일생을 마치게 된다.한의원에서 진맥을 통해 신체의 질병을 알아내는 것처럼, 간단해 보이는 별빛의 색을 통해 그 별의 표면온도에서부터 일생까지 알려주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다른 목격자들도 완벽한 알리바이를 제시하기엔 이런저런 결격 사유가 있어요. 특히, 맨
마지막
에 나타난 목격자는 자신이 어느 해에 그것을 봤는지조차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어요. 린다 코틸의 사건과 그의 UFO 목격을 연관시킨 것은 버드 홉킨스의 작품인 셈이죠.존 피랍 체험의 물질적 ... ...
한민족의 상징 백두산 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감소했다. 남한에서는 1921년 경상북도 경주 대덕산에서 잡힌 것이 야생에서 발견된
마지막
이었다. 북한에서도 중국과 접경지역인 고산 삼림에 몇마리가 남아있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만주나 연해주 지역에도 많아야 2백50마리 정도의 야생 호랑이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최근 국내에서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매년 3월 21일 춘분날 이 점을 통과하는 것이다. 이제 양자리는 태양이 머무는 황도의
마지막
별자리로 물러난 셈이다.기원전 2세기에는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별자리와 점성가들이 말하는 황도12궁이 서로 일치했다.하지만 점성술사들이 세차운동을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춘분점의 위치가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합쳤다. 그리고 전기적·화학적 방법을 사용해 융합시켜 수정란을 만들었다.이제
마지막
단계는 융합된 수정란을 어미에게 이식하는 과정이다. 물론 수가 얼마 남지 않은 백두산호랑이를 상대로 복제 수정란을 키우는 ‘부담스런’ 임무를 맡기기는 어렵다. 그래서 암컷 호랑이 대신 적절한 ... ...
스포츠과학이 숨쉬는 시드니 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시드니올림픽 여자 공기소총 결승전에서는
마지막
한발이 승부를 갈랐다.줄곧 앞서가던 우리나라 강초현 선수가 은메달로 밀리는 순간 1등과의 점수차는 0.2점.이렇듯 스포츠경쟁은 간발의 차로 끝이 난다.그리고 0.01초와 1cm의 기록을 단축하려는 경쟁 뒤에는 언제나 스포츠과학이 숨쉬고 있다.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