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수학은 참여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즐기세요! (Hey, guys. Enjoy it if you must do!)”라고 그들을 응원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쑨
박사
는 우리나라 학생들뿐만 아니라 세계 청소년들에게도 수학에 대한 열정과 그들의 미래를 응원해 주는 것도 잊지 않았다. 해가 갈수록 학생들의 열정이 뜨거워진다는 국제수학경시대회는 내년을 기약하며 ... ...
예상보다 짧은 맨틀의 순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걸릴 것으로 예상해 왔다. 그런데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화학연구소의 알렉산더 소볼레브
박사
팀은 지각이 1/4 수준인 5억 년 만에 다시 나온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에서 화산암을 채집했다.이 화산은 깊이 3000km 지점에서 솟아오른 열점이 압력이 낮은 표면 근처에서 폭발한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IBM은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주의’를 더 기울이게 하는 방식으로 흉내를 냈다.모다
박사
는 “이 프로세서를 이용한 컴퓨터는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해 스스로 사고를 감지하고 앰뷸런스를 보내는 것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조상’이 됐던 시조새의 정체가 그 어느 때보다 논란에 휩싸인 것은 물론이다.[수싱
박사
팀이 공개한 샤오팅기아의 화석.]하지만 깃털공룡이 발견된 뒤 10여 년이 지난 최근까지도 시조새가 새의 조상이라는 주장을 뒤집을 수는 없었다. ‘결정타’에 해당하는 증거가 나오지 않았기때문이다. 사정이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요인을 분석하는 장기 프로젝트에서 밝힌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터먼
박사
는 1956년 사망했고 다른 연구자들이 뒤를 이었다.화이트홀 연구와 비슷하게 ‘술, 담배를 끊어라’, ‘육식을 줄이고 채식을 늘려라’ ‘적정 체중을 유지해라’ 같은 건강과 장수를 위한 조언은 별로 소용이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96년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복제양 돌리를 만든 영국 에든버러로슬린연구소 이언 월머트
박사
팀의 핵치환 기술이 빠르게 전파되면서 환자맞춤형 줄기세포의 가능성이 거론되기 시작했다.즉 환자의 체세포 핵(2n)을, 핵(n)을 뺀 난자에 넣어 수정란(2n)으로 착각하게 외부에서 자극을 줘 발생을 유도해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기존 전력망 연구에 한계를 느껴서였죠.”문 교수는 1993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을 때까지만 해도 전기를 어떻게 안전하게 나르고(송전) 분배할 지(배전)를 연구하던 평범함(?) 전기공학자였다. 전력 사고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주 연구 주제였다. 하지만 사후약방문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는 합성생물을 개발 중이다. 광합성 회로를 이용한 ‘에너지 공장’인 셈이다. 벤터
박사
외에도 많은 과학자들이 합성생물로 바이오 디젤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들은 합성생물이 지구온난화와 석유고갈 위기를 극복할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합성생물을 이용하면 기존 ... ...
초파리 수컷도 허세 부리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상대에 집중하게 한다는 이유다.연구팀을 이끈 리버풀대 통합생물학 연구소의 앤리제
박사
는 “우리가 관찰한 초파리의 행동은 인간 남성이 여성을 둘러싼 경쟁에서 느끼는 강박심과 비슷하게 진화해 왔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영국 왕립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바이올로지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캘리포니아공대 생명공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우성욱 씨와 지도교수인 폴 로데문트
박사
는 DNA 오리가미를 타일로 써서 다양한 2차원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화학’ 8월호에 발표했다. DNA 오리가미는 실 형태(1차원)인 DNA 가닥을 접어 만든 정사각형 같은 2차원 구조물이다.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