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별로 기울기 차이가 없는 지역에서는 ‘어디로 튈지’ 우연에 맡긴다는 것이다. 윤
박사
는 “그래서 갈팡질팡 모형이라고 부른다”며 웃었다.랜덤워크모형은 이런 논리에 따라 만든 기본 공식에 복잡한 지역별 변수를 넣어서 세세하게 보정한 모형이다. 토사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 관성력을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추석에 뜨는 보름달을 보며 사람들은 소원을 빈다. 그런데 달이 두 개라면 소원을 두 배로 빌 수 있을까. 지난 8월 4일자 ‘네이처’에는 재미있는 논문이 실렸다. 과거에는 달이 두 개였다가 하나로 합쳐져 오늘 우리가 보는 달이 됐다는 내용이다. 우리가 몰랐던 달 출생의 비밀이 밝혀진 것일까.달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00m가 넘어 고성능 잠수정을 개발하게 됐다는 것이 한국해양연구원 측의 설명이다.이판묵
박사
는 “6000m급 무인잠수정은 전 세계 해양의 98%를 조사할 수 있다”며 “정밀 지형지도 작성, 지질 분석, 망간단괴를 비롯한 심해자원 탐사 등 다양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석유자원의 고갈에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주사’로 활용하는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소개됐다. 일본의 지치의과대학 시게토 요시다
박사
팀은 모기의 침에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넣었다. 그리고는 모기에 물렸을 때 백신을 접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실험해 항체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했다. 과학자들은 사람마다 모기에 물린 효과가 ... ...
빙글빙글 돌리면, 어떤 도형 될까?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한단다. 알겠니?”“
박사
님 이렇게요? 넘어지지 않고 잘 도는 게 어려워요. 그런데
박사
님 갑자기 발레는 왜 배우는 거예요?”“빙글빙글 돌면 재밌는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지. 이제 옷 갈아입고 실험실로 가 보자꾸나.”아르키메데스의 회전체동전을 세운 다음, 손가락으로 쳐서 동전을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연구팀의 방향이 맞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안심할 수 있었죠.”연구팀의 전기완
박사
는“세상에 없는 새로운 연구를 할 때는 잘못된 길로 가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있다”며 연구팀의 연구 방향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소개했다.프로그램 개발은 수리연의 역할이 아닌 것 같은데, 왜 NIMSOFT를 ... ...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도구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저널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이에 대해 브라운
박사
는 “물고기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과 달리 도구를 다룰 수 있는 신체기관이 입 외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영장류에게 적용하는 도구의 개념을 모든 동물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더 무리가 있다”고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 바닷속을 삭막하게 만드는 장본인은 돌산호(거품돌산호, 그물코돌산호)다. 구준호
박사
는 “제주 바다의 60%를 돌산호가 차지하고 있다”며 “바다 바닥에 들러붙어 빠르게 번식해 해조류가 살 공간을 빼앗아버렸다”고 말했다. 제주에서만 살던 해조류인 감태도 점점 사라지고 있다. 기존에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걸렸지만 플루미스트를 사용한 그룹은 3.9%만 독감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벨시
박사
는 변종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도 플루미스트가 주사보다 현저히 강하다고 밝혔다. 플루미스트가 생백신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생백신은 독성은 없지만 살아 있는 병원체를 약물로 쓰기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시도할 만한 훌륭한 여행이다. 이그노벨상 수상자인 괴짜 화학자 시어도어 그레이
박사
의 ‘세상의 모든 원소 118(영림카디널)’은 그 중에서도 특별하다.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원소부터 방사성 동위원소처럼 구하기 힘든 원소까지 직접 사진을 찍고 설명을 붙였다. 주기율표대로 화려한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