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92건 검색되었습니다.
1km 떨어진 가습기와 에어컨이 서로 대화를?
과학동아
l
2014.04.24
손톱만한 크기지만 세계 최초로 CPU(연산장치)가 내장된 형태로 개발했다. 무선
신호
를 주고받는 데 필요한 연산을 자체적으로 할 수 있어 다양한 자동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ETRI는 이 칩셋을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로부터 ‘개인영역네트워크(WPAN)용 무선통신기술’에 ... ...
니들이 통증을 알아?
과학동아
l
2014.04.23
종류와 전달경로, 통증이 생기는 이유 등을 소개한다. 이와 함께 감각신경 말단에서 통증
신호
를 일으키는 이온채널과 이를 연구해 진통제를 개발하는 과정을 알기 쉽게 설명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정유라 광주 서광초 교사는 ‘[어버이날 테마강연] 꽃다발 만화경’이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 ...
양자컴퓨터 원리, 국내 연구진이 입증
과학동아
l
2014.04.22
제공 큐비트는 일반 비트와 달리 0과 1의 두 값뿐 아니라 몇 개의
신호
를 동시 표현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연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일반 컴퓨터보다 월등한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양자컴퓨터의 큐비트 현상을 이론을 통해 입증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 ... ...
[채널A] 세월호 수색작업에 수중 무인잠수정까지 동원했지만…
채널A
l
2014.04.22
다리로 걸어다니는 이 로봇에는 초음파 장비가 설치돼 있습니다. 음파를 쏴서 돌아오는
신호
를 분석하면 세월호가 기울어진 각도, 배 안에서 빠져나온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 변성훈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선임연구원] 10~15미터 정도까지 거리를 시중에 나와 ... ...
1000번 접었다 펴도 멀쩡한 메모리 소자
과학동아
l
2014.04.21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국제 공동 연구진이 1000번을 접어도 그떡 없는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 - 연세대 제공 종이처럼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메모리 소자가 국내 연구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이 소자는 차세대 입는 컴퓨터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박철민 연세대 신소재공 ... ...
커피숍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
과학동아
l
2014.04.18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앞으로 와이파이 존처럼 무선
신호
를 받을 수 있는 특정 장소에 접근하면 충전기나 전원 케이블이 없어도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달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전력전자 저널(IEEE ... ...
[채널A] 쥐 뇌 지도 완성, 다음은 인간…뇌 신경망 연구
채널A
l
2014.04.17
미국 앨런뇌과학연구소 오승욱 박사팀은 7500만 개에 달하는 쥐의 뇌신경세포
신호
가 어디에 어떻게 전달되는지 3차원 이미지로 나타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생쥐 1700마리의 뇌를 각각 140등분한 뒤 신경연결망을 촬영해 만든 겁니다. 포유동물의 생각 지도를 그린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 ... ...
조류독감 검출 2분만에 '뚝딱'
과학동아
l
2014.04.13
있으며, 단백질이 수용체와 결합하면서 핵산유도체를 벗겨내고 이 때 입자표면의 형광
신호
가 다시 켜진다. 마이크론 크기의 각 입자가 독립된 센서 역할을 한다. - KIST 제공 ... ...
[동영상] 드론이 딸기 어떻게 배달하나 봤더니
과학동아
l
2014.04.11
GPS) 정보를 전송한다. 주문을 받은 컴퓨터 시스템은 전송받은 GPS
신호
를 확인하고 교내 지도와 비교한다. 배달할 위치가 도로 주변에 있다면 무인자동차만을 보내고, 차량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은 드론을 무인자동차 지붕에 실어 함께 내 보낸다. 드론은 무선인터넷 통신기술인 와이파이(Wi-Fi ... ...
꿀벌이 가장 힘든 계절은?
과학동아
l
2014.04.11
추며 전진했다면 이는 벌집에서 태양을 바라보고 우측 45도 방향 1.5km 건너에 꿀이 있다는
신호
다. 영국 서식스대 연구팀은 꿀벌의 이런 8자 춤 5000회를 분석해 계절별로 엉덩이춤을 추는 시간이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최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