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92건 검색되었습니다.
TV출연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한다
과학동아
l
2014.03.13
관련 정보 제공은 물론 시청자의 방송참여도 이끌어 낼 수 있다. 더군다나 기존 방송
신호
규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프로그램 시청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스마트 TV는 물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도 사용이 ... ...
비오는 날도 4배 또렷한 인공위성, 우리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3.13
된다. 군사용 위성을 제외하면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도다. 전파를 쏜 후 돌아오는
신호
를 분석해 지상을 관측하는 영상레이더 장비는 아리랑 5호에 처음 실렸다. 아리랑 5호의 핵심장비인 영상레이더는 유럽 기업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이탈리아’(TASI)가 만들었다. 항우연은 ... ...
빛으로 정보 주고 받는 컴퓨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우리나라 과학자가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이 빛으로
신호
를 주고 받는 ‘광집적회로’를 개발해 현재 사용하는 컴퓨터보다 10배 빠른 처리속도를 보이는 컴퓨터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서민교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미국 스탠퍼드대 마크 브롱거스마 재료공학과 교수, 케빈 후앙 ... ...
선천적으로 음악 못 즐기는 사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6
따거나 잃었을 때의 감정 변화를 알아내기 위해 심장박동수와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
신호
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음악을 들었을 때 쾌감을 느끼는 보상회로와 돈을 땄을 때 느끼는 쾌감의 보상회로는 전혀 별개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음악감수성이 낮은 집단은 음악을 들을 땐 ... ...
인간과 로봇의 경계에는 OO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03.03
수학적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일종의 계산기로, 인공지능의 모태인 컴퓨터 개발의
신호
탄을 쐈다. 특히 20세기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은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기원이 되는 '튜링 기계'를 고안해 '컴퓨터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개발된 후, 로봇 ... ...
활성산소가 신경세포 죽여 치매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병 다음으로 흔한 노인성 질병인 혈관성 치매 발병의 새로운 원인을 규명했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으로 대뇌 조직이 ...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항산화산화환원
신호
지’ 온라인판 6일자에 실렸다 ... ...
뚱뚱한 사람이 자주 아픈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만들어 다른 조직에
신호
를 보내는데, 비만으로 인해 지방조직에 이상이 생기면 잘못된
신호
를 전달하게 돼 각종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는 28일 오후 6시 30분 대전 교육과학연구원에서 ‘생물학자가 보는 지방조직과 비만’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김 ... ...
뇌CT “2분만에 끝”… MRI ‘쿵덕쿵덕’ 소음에 깜짝 놀라
동아일보
l
2014.02.24
방지하기 위해서다. 머리 위로는 하얀색 코일을 덮었다. 촬영 부위 쪽으로 고주파
신호
를 좀 더 세밀하게 받아들이기 위해서였다. 검사 전에 불편한 사항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들었다. 그러나 막상 CT 기계보다 좁은 입구가 눈에 들어오자 기자는 답답함을 느꼈다. 기자의 마음을 알아차린 듯 의사는 ... ...
쌍둥이 소수 추측, 서서히 결말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4.02.24
년 5월, 중국계 미국의 수학자 이탕 장은 쌍둥이 소수 추측에 관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호
탄을 쐈다. 쌍둥이 소수는 아니지만 소수의 차이가 7000만보다 작은 순서쌍이 무한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그의 논문은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발간하는 수학저널에 실려 많은 수학자들의 ... ...
줄기세포로 청각 장애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달팽이관 속 청각유모세포(hair cell)가 음파의 진동을 신경
신호
로 바꿔주기 때문. 문제는 양서류나 파충류와 달리 포유류는 한 번 훼손된 유모세포를 거의 재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청각 장애 원인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도 유모세포 관련 문제다. 이 때문에 이번에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