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06
- 1976년 리처드 도킨스가 저술한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크게 발전해 행동생태학의 전분야를 통합하는 중심 이론으로 자리잡았다.공정하게 말하면 이렇다. 해밀턴이 ‘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었다면, 도킨스는 이를 거목으로 뿌리내리게 했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가 해밀턴,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06
- ” 윤 연구원은 덧붙였다.그동안 ‘언어심리학’, ‘인지언어학’, ‘인류언어학’ 등의 분야에서 일부 언어 사이의 유사성을 연구한 사례는 있었지만, 전세계 모든 언어를 대상으로 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과거에는 백인의 교육받은, 부유하고 민주주의적인 몇 개의 국가, 문화를 대상으로 편중돼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06
- 에디슨 플랫폼에는 전산열유체, 나노물리, 계산화학,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등 크게 5개 분야의 시뮬레이션 콘텐츠 249종이 탑재돼 있다. 현재 국내 43개 대학에서 에디슨을 활용하고 있는데, 수업 교과목 수로 따지면 785개에 이른다.에디슨의 일부 프로그램은 처음 다뤄보는 고등학생도 큰 어려움 ...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최근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60분의 1만큼 얇고 A4용지 무게의 20분의 1만큼 가벼운 태양전지가 개발됐어요. 미국 메사추세츠공학대학교 블라디미르 불로비 ... 보였어요.불로비치 교수는 “이 태양전지는 옷이나 생활용품에 붙일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06
- 규칙도 없어 보이니 무작위로 만든 암호로 볼 수 있습니다.학교 다닐 때, 공부 외에 관심 분야가 있었나요?제가 대학을 다닐 때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유행했어요. 저도 스타크래프트에 푹 빠져있었죠. 특히 저희 과에 최초로 프로게이머 특채로 들어온 후배가 있었어요. 스타크래프트의 저그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06
- 좋은 그룹(leading group)으로 가려면 해당 분야의 최신 연구주제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자들이 어떤 연구를 하는지 좀 더 눈을 넓힐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06
- 지능형 반도체 칩, 생물 전자 소자, 신경 회로망, 뇌·신경 유전체 기능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프로젝트가 마무리 되는 2019년엔 과연 제품을 만날 수 있을까. 그는 “곧 기업도 참여시킬 예정”이라며 “그러나 장애인을 위한 의수 시장이 너무 작기 때문에 ... ...
- [Editor’s note] 미래 최고의 직업은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06
- 전에는 미국 최고의 직업으로 데이터과학자가 뽑혔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모든 산업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중요해지면서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2위는 통계학자, 3위는 정보보안 분석가였습니다.공교롭게도 1, 2, 3위가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직업입니다. 왠지 수학을 좋아하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06
- 문제는 이 함수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겁니다.그런데 피아초프슈카 박사가 정수론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하는 복소해석함수★인 ‘모듈러 형식’을 이용해 이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마치 모래사장에서 잃어버린 열쇠를 찾아 자물쇠를 여는 것처럼 딱 맞는 함수를 찾아낸 것이지요.1주일 만에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06
-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쓰기 시작했지요. 사실 P-value를 대신할 통계적 방법이 개발돼 있는 분야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해하기가 어려워 많이 쓰이고 있지 않습니다. 계속해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올 확률을 구하는 방법인 ‘재현성 측도’도 개발됐지만, 이 역시 그 내용이 어려워서 얼마나 사용될지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