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살기"(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함께 질소, 탄소, 산소 같은 필수 요소가 풍부한 대기가 있는 지구형 행성이 생명체가 살기에 딱 좋다고 하더라고~. 중력렌즈효과는 아주 커다란 항성이나 은하의 주변공간이 큰 중력 때문에 뒤틀려서 생긴다. 이곳을 통과하는 빛은 마치 거대한 렌즈를 지나가는 것처럼 굴절되기 때문에 뒤쪽 천체의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하지만 지금 소개하는 친구들은 여러분 피부에 살지도 몰라~. 사람 몸이야말로 자신들이 살기 가장 좋은 곳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도 있거든. 머릿니는 사람이 잠잘 때 두피에 주둥이를 찔러 넣고 피를 빨아 먹어. 머릿니의 침과 배설물이 두피에 닿으면 엄청나게 가렵지. 모낭진드기는 모낭에 ... ...
- 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구온난화 때문에 앞으론 겨울도 따뜻해지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든다. 과연 지구는 살기 편안해질까, 아니면 힘들어질까. 9월 27일 발표한 IPCC 제5차 종합 보고서에서 지구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진학한 조 대표는 여전히 자기만의 길을 걸었다. 2000년대 초반으로 아직 우리나라가 먹고 살기 위해서는 IT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이야기가 효과를 발휘하던 때였다. 벤처 신화도 아직 식지 않았고, 교수들은 학생들에게 통신 쪽을 공부하라고 권했다. 그러나 조 대표는 주변의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받게 됐다오.대체 왜 사람이 죽은 건가요?미리 알아둬야 할 게 있소. 원래 진드기는 살기 위해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피를 빠는 생물이라는 점이오. 그 과정에서 바이러스나 병을 옮기기도 하지. 예를 들어 가을에 활동하는 털진드기는 치사율이 높은 ‘츠츠가무시병’을 일으킨다오. 단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종에 따라 입은 그야말로 제각각이다. 입이 이렇게 제각각으로 발달한 것은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였다. 먹이를 더 효율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남들이 안 먹어서 찾기 쉬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먹이 경쟁에서 상대를 물리칠 수 있도록 입은 동물의 먹고사니즘을 도왔다. 여기서 다루지 않은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김 변리사는 입학하기 전부터 변리사에 관심이 있었지만, 처음부터 고시생들처럼 죽기 살기로 시험을 준비한 것은 아니다. 전공인 생물학과 함께 법대 수업을 들으면서 준비를 꾸준히 했다. 실제 변리사 시험은 단순히 외워서 되는 것이 아니라 사고력이 풍부해야 한다. 그는 “고시학원에서 시험을 ...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동물인 우리를 ‘초식묘’ 이렇게 부를 수도 없고, 거참.이상한 고양이가 늘어나면서 살기 좀 편해지긴 했어요. 일단 새끼를 잘 안 낳으니 먹이가 충분해져 사냥감을 다툴 일이 없고요. 주변에 발정하는 고양이가 없으니 저도 좀 편해졌어요. 시도때도 없이 달아오르지도 않고, 우아한 밤의 숙녀로 ...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있는 큰 공원에 놀러가 보면 예쁜 꽃들이 많다. 얼핏 생각하기에 꽃이 많아서 꿀벌이 살기 좋은 환경일 것 같지만, 꿀벌 입장에서는 전혀 다를 수 있다. 공원은 사람이 보기 좋고 즐기기편하게 마련한 장소다. 살충제를 뿌리기도 하고, 열매를 맺지 않은 상태로 꽃만 오랫동안 피어 있게 하기 위해 ...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1만 8000년 전까지는 살았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그런데 이 때는 호주에 현생인류가 살기 시작한 때와 비슷합니다. 과연 플로레스인은 현생인류일까요 아닐까요. 학자들은 플로레스인이 현생인류라는 주장과, 현생인류가 아니라 아주 작은 체구의 새로운 인류라는 주장으로 나뉘었습니다.논쟁은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