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과학동아 기사를 통해 KAIST 연구를 분석했다. 국내 과학 트렌드가 보였다.편: 다양성에 신경 썼다. 인터뷰, 일러스트에 다양한 분야, 연령, 성별을 담으려 노력했던데.영경: 그래도 인터뷰이에 남성이 많은 건 아쉽다.2. 편: 미국,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탐사선 3기가 2월 연거푸 화성에 도착한다던데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정신 혼미하게 만드는 해롱해롱 호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꿈이라도 꾼 거야? 루띠 말로는 신입이라고 찾아왔다며? 사관학교 졸업 성적은 신경 쓸 필요 없어. 꼴찌도 할 수 있고 그렇지 뭐. 이름이 뭐지, 신입?”“아니, 저는 꼴찌가 아닙니다. 그리고 여기가 아니라….”“아유, 꼴찌여도 괜찮다니까. 부끄러워하긴. 이름이 뭐라고?”“전 수석으로 ... ...
- [수학뉴스] 빅데이터로 본 표정, 국적은 달라도 70%는 비슷하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나왔습니다.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UC버클리)와 구글 공동 연구팀은 ‘심층신경망’이라는 기계학습 기술을 사용해 북미, 중남미,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 144개국 사람들이 올린 약 600만 개의 유튜브 영상 속 표정을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놀라움, 슬픔 등 16개의 감정과 연관 있는 표정을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에 방대한 이미지 빅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합성곱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인식 AI가 사람들의 시각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달콤하고 담배는 감미로웠지만, 중독의 대가는 크다. 제럴다인 라이트 영국 뉴캐슬대 신경과학연구소 교수는 “벌이 한 번 네오니코티노이드가 들어있는 꿀을 벌집으로 가져오면 이는 전체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피부와 근육, 혈액, 뼈, 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세포입니다. 피부세포와 근육세포, 적혈구, 골세포, 망막세포 등은 모양과 기능이 모두 ...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축삭 유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발생 과정과 신경 세포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입니다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때문이다.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연구팀은 AI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심층신경망(DNN) 기술을 이용해 이 같은 사실을 한 번 더 입증했다. 연구팀은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144개국의 600만 개 동영상을 분석해 전 세계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16가지 보편적인 표정을 짓는다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시냅스의 불균형으로 지목되고 있다.신경과학 연구자들은 시냅스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백질이 뇌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엄 교수는 시냅스를 구성하는 뉴런의 구조를 형성하는 ‘골격단백질’에 주목하고 있다.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딥러닝, 그중에서도 합성곱신경망을 주로 사용하죠.이미지 인식 AI를 위한 합성곱신경망은 데이터의 특성을 다차원 형태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각 차원에 대한 데이터 특성은 물체를 구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요. 사과와 오렌지를 예를 들어 설명해볼게요. 사과와 오렌지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색,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전에 비해 이후에 편도체 회색질 부분 부피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편도체 신경세포의 반응도도 감소했다. 연구팀은 불안장애 환자의 편도체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부피와 반응도가 늘어난 상태였으며, 인지치료가 편도체를 진정시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해석했다. doi: 10.1038/tp.2015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