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d라이브러리
"
저명
"(으)로 총 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둘러싼 칼 세이건과 존 맥의 팽팽한 접전.
저명
한 과학자인 이들은 왜 상반된 주장을 펼치는 것일까.UFO의 본질에 대한 이들의 관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UFO와 피랍 현상의 본질은 과연 무엇일까. 1960년대 초 칼 세이건은 UFO 이야기가 주로 종교적인 상징성을 띠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근대 이후 ... ...
예측불허 주가에 숨겨진 질서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은행에서 데이터분석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물리학자가 쓴 금융관련 연구논문이
저명
한 과학저널과 경제학술지에 발표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고,1999년 7월에는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금융데이터분석에 대한 물리학의 적용'이라는 유럽 학술회의가 처음으로 개최되기도 했다.국제금융시장은 모건 ... ...
우주 그리고 인간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안았고, NASA 허블 펠로우쉽을 수상한 바 있는 쟁쟁한 천문학자다. 또한 지난해 11월 4일자
저명
한 영국의 ‘네이처’지에 오메가 센타우리라는 천체를 새롭게 관측·해석한 논문을 게재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부록에서는 '은하계 형성의 비밀을 밝힌 한국의 천문학자들'이라는 제목으로 오메가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과학적인 법칙에 따라 예측이 가능하기에 컴퓨터의 성능을 시험하기에 안성마춤이었다.
저명
한 대기과학자 챠니와 엘리어슨은 1950년 3월, 3차원인 대기를 수직방향의 성분을 무시한 채 간단한 2차원의 공간으로 간주하고 애니악 컴퓨터에서 대규모 기류 변화를 예측해보았다. 예보실험은 약 한달간 ... ...
모래시계에서 발견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모래에 압력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모래가 일정한 속도로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1993년
저명
한 물리학 저널 ‘피지컬 리뷰 레터’에는 ‘모래시계가 일정한 속도로 내려가기 위해서는 모래 알갱이의 크기와 모래시계 목(neck)의 지름이 적당한 비율로 이뤄져야 한다’는 논문이 발표됐다. 저자인 ... ...
타임머신(The Time Machine)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환경에서도 뛰어난 학업능력을 발휘해 켄싱턴 왕립과학대학에 장학생으로 입학, 당시
저명
한 생물학자인 토마스 헉슬리('멋진 신세계'의 작가로 유명한 올더스 헉슬리의 조부)의 지도를 받았다. 1895년 타임머신을 발표한 뒤 한동안은 SF작가로 활동하다 주류문학과 사회문제에 관심을 보여 많은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카오스 분석하면 환자가 간질 발작을 일으키기 전에 미리 예측 가능하다는 사실을
저명
한 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유럽 의사들의 재반격이 시작된 것이다. 아직도 이 문제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지만 유럽 의사들은 뇌파를 분석하고 모델링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한편 좀더 실제적이면서 ... ...
콘택트(Contact)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했다. 이 영화의 원작은 바로 세이건이 일찍이 1985년에 발표한 장편 SF소설 '콘택트'다.
저명
한 대중과학 저술가였던 세이건은 자신이 직접 SF소설을 쓰기 전부터 이 분야에 적지 않은 관심을 가져왔다. 그가 1979년에 낸 대중과학서인 '브로카의 두뇌'에는 '과학소설: 개인적인 견해'라는 독립된 글이 ... ...
우주 시대를 연 최초의 인공위성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정도 뜨고난 뒤 폭발하는 참담한 결과만 얻었다. 첫 발사가 실패하자 미국은 독일 출신의
저명
한 로켓과학자인 폰 브라운을 중심으로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를 결성해 1958년 1월 31일에 ‘익스플로러 1호’ 위성 발사에 성공한다. 그러나 이때 이미 소련은 1957년 11월 3일에 ‘라이카’라는 개를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대마젤란 성운의 구상성단은 우리은하의 구상성단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1999년 영국의
저명
한 과학잡지 ‘네이처’에 실린 연세대 우주망원경사업단 이영욱 교수팀의 논문은 구상성단 중의 하나가 왜소은하로부터 왔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이 교수팀은 남반구에 있는 유명한 구상성단 오메가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