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d라이브러리
"
저명
"(으)로 총 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메달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위스콘신대학 교수였으며 현재는 예일대학에 재직 중이다.필즈상의 수상자들은 8명의
저명
한 수학자들로 구성된 선발위원회에서 선발되며 수여 당일까지 공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3회 총회에서 선발위원장을 맡은 사람은 1974년 필즈상을 수상한 하버드대학의 데이버스 멈포드교수였다 ... ...
어느 겨울 밤의 실험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손을 뻗었다. 이것이 마지막 실험이라고 생각하자 너무 기분이 좋았다. 이제 곧
저명
한 잡지에 자기 논문이 발표될 거라고 상상하자, 온몸이 달아오르는 듯했다.복사해 둔 논문을 펼쳤다. 투고할 논문을 어떤 형식으로 쓸 것이진 미리 파악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곧 지겨워졌다. 염기 서열만이 나열된 ... ...
실패로 끝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만나지 않고 보고서에만 의존했다. 예를 들어 1985년 이후 정부는 현역에서 활동하는
저명
한 과학자들로 구성된 ‘과학감독위원회’를 만들어 초심리학 연구를 감시하게 했다. 이들은 총 17명이었는데, 평가단이 만난 사람은 1명뿐이었다.평가단의 구성도 공정치 않았다. 중앙정보국 내 과학고문단은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포시가 르완다의 카리소케에 세운 고릴라 연구소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그리고 제일
저명
한 고릴라 연구소가 됐다. 다이안 포시는 고릴라들 하나하나를 다 구별할 수 있을 만큼 빈틈없이 관찰했고, 그 결과 전설로 전해 내려오는 무시무시한 동물이 온순하고 사회적인 동물로 재인식되기 ... ...
고등과학원 개원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세워진 곳. 이를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노벨상 수상자급으로 석좌교수 15명,국내외
저명
과학자로 구성된 교수 50명,포스트닥터 및 대학 조교수급로 구성된 연구원 1백명 등 1백65명으로 운영할 예정이다.하지만 고등과학원은 개원을 앞두고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 ...
인기학과에 연연하지 말기를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동안 계속됐다. 하지만 다시 재심사를 요구해 논문게재 허가를 받았다. 그 후 외국의
저명
학술지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이 논문을 발표했다. 전공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는 것은 참으로 보람된 일이다.주변에서 세계적인 학자가 된 사람들을 보면 일류대를 나온 사람들만 있는 것은 결코 ... ...
마라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양의 글리코겐을 근육 내에 저장하기 위해 갖가지 시도를 해왔다.1960년대 중반 스웨덴의
저명
한 운동생리학자 오스트란드는 시합 직전 육상(장거리) 선수들의 글리코겐 저장량을 최대로 올리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글리코겐 비축' (glycogen loading)이라 불리는 이 방법은 시합을 앞둔 7일 동안 첫 3일은 ... ...
화학전공으로 물리학 교수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논문을 화학관련 학술지에 제출하려고 했는데, 또 한번의 전환점이 생겼다. 논문을 읽은
저명
한 물리학교수 한분이 미국 물리학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술지에 투고하기를 권했던 것이다. "설마 받아줄까"하고 보냈던 논문이 게재됐다. 또 이 논문을 보고 자기 실험결과를 설명할 수 있었다는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2.집안에 하버드 강의실, 산간벽지에 서울대 병원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달한다.GSN에 화상토연결된 학교들은 특정한 주제를 정해놓고 이를 론하기도 하고,
저명
한 과학자나 예술가들이 참여해 학생들과 토론을 벌이기도 한다. 또한 학생들은 각 나라의 '대사'로 참여해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의 소식을 세계에 알린다. 이 재단은 이 운동을 추진한공로로 작년 6월 미국에서 ... ...
2. 반입자와 반물질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전하가 반대인 성질을 가져야 했다. 당시 그러한 입자는 알려지지 않아 그의 이론은 많은
저명
한 학자들로부터 거부당했다.그런데 놀랍게도 1932년 미국의 앤더슨박사는 우주에서 날라오는 입자 중에 이러한 성질을 가진 입자가 존재함을 발견했다. 이는 현재 반전자 또는 양전자(positron)라고 불리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