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2015 젊은 꿈을 키우는 화학캠프’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학생들은 오염된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직접 설계해 봤다. 자신들이 만든 ‘마이크로정수기’가 아프리카 등 저개발국가에 실제로 쓰일 수 있을지 무척 궁금해 했다. 또 종이컵과 커피홀더를 미니화분으로 재활용하는가 하면 화학첨가제가 전혀 섞이지 않은 천연탈취제와 폼 클렌징을 만들어 ...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곧바로 경고가 떨어졌다. 안면보호구를 벗을 때도 편하게 목 부분을 잡고 벗는 게 아니라 정수리 쪽을 잡고 벗어야 했다. 보호복의 지퍼를 내리기 위해 지퍼 근처를 손으로 더듬는 행동도 금지사항이었다. 오죽하면 현장에서는 감독관이 의료진이 실수를 하지 않도록 주의 지침을 한 줄씩 큰 소리로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도는 횟수가 p, q이면 이를 ‘(p, q) 토러스 매듭’이라고 한다. 사라 마리 박사는 이 정수 사이의 규칙을 찾아 무한히 많은 종류의 토러스 매듭을 만드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털뭉치로 분류한 대칭 패턴특별 컨퍼런스의 공동 주최자인 캐롤린 야켈 교수는 사라 마리 박사와 함께 구로 나타낼 수 있는 ...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그물을 타고 내려와 연결된 관을 따라 흘러요. 이렇게 흐른 물은 커다란 통에 모여, 정수 과정을 거친 뒤 마실 수 있는 물이 되지요. 포그퀘스트에서는 물 부족국가인 네팔이나 칠레, 에티오피아 등에 안개포집 장치를 설치했답니다.건조한 날에는 물을 거의 모을 수 없지만, 안개가 많이 끼는 날에는 ... ...
-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있었던 오일러를 수학의 길로 인도해 미적분학과 기하학, 해석학의 발전은 물론 근대 정수론의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사실 요한 베르누이를 시작으로 오일러, 라그랑주, 푸리에, 클라인, 힐베르트 등으로 이어지는 사제지간은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서양수학사를 주도했다. 이처럼 서양수학계에서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합동★’의 개념 때문이다. 합동이란 정수론에 등장하는 용어로, 정수 a와 b의 차가 정수 m으로 나눠떨어질 때 쓰는 표현이다. a와 b를 두고 mod m에서 합동이라고 한다. 합동이면 a와 b를 각각 m으로 나눈 나머지도 같다.그렇다면 대체 리플 셔플과 합동이 무슨 관계일까? 카드 17장으로 리플 셔플을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인 레스터 텔서는 최적의 화폐 액면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정수론의 ‘배쳇 문제’를 활용했다. 배쳇 문제는 제한된 범위 안에서 가장 적은 개수로 임의의 총합을 만들 수 있는 체계를 찾는 문제다. 텔서는 이 문제를 화폐에 적용했다. 예를 들어 10원부터 1000원 사이의 어떤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값을 본 다음, 적절하게 더하고 빼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고차방정식의 정수해를 구할 때 쓰는 ‘조립제법’과 비슷하다. 이 방법은 19세기 영국의 수학자 호너가 제안한 방법과도 같다. 동양에서는 서양보다 300년이나 앞서 이 방법을 알고 있었던 셈이다.그런데 사실 동양에서 이런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개발했던 ‘수의 기하학’ 이론을 현대적인 방법으로 개선했다. 수의 기하학이란, 정수의 순서쌍 같은 이산 수체계가 다차원 공간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상세히 공부하는 이론이다. 그런데 민코프스키 때는 간단한 종류의 영역만을 고려하던 것을 바르가바는 ‘산술군 이론’을 사용해 훨씬 복잡한 ...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수학동아 l2014년 09호
- a, b와 m을 법으로 하여 합동’이라고 하며, 이를 ‘a≡b(mod m)’이라고 쓴다. 즉, 기호 ≡는 정수론에서의 합동으로 주로 사용되다가, 점차 도형의 합동을 나타내는 데에도 쓰이게 되었다. 한편,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다른 도형은 ‘닮음’이라고 한다. 어떤 도형을 일정한 비율로 키우거나 줄이면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