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이 같은 계산법을 !(팩토리얼) 또는 계승이라고 하는데, 1부터 어떤 양의 정수 사이의 정수를 모두 곱한 것을 의미한다. 이번 선거에서 총 7명의 후보가 등록한 경기도 교육감 선거의 투표용지를 이와 같이 제작한다면, 무려 5040가지의 투표용지가 필요하다. 선거구란 선거를 치르기 위한 기본적인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스승님과 저는 종종 비교의 대상이 되곤 해요. 스승인 오일러는 미적분학, 해석기하학, 정수론, 변분법 등의 방대한 분야를 연구했어요. 스승님에 비하면 저의 연구 분이는 해석학과 역학에 집중되어 있어 비교적 적은 셈이죠. 하지만 증명의 엄밀함과 우아함은 제가 낫다는 평가가 많아요. 일스(Eells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동참했다. 박 소장은 비소 흡착제를 현지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형 소형 정수 시스템을 개발했다. 전력이 없는 곳에서도 태양광을 이용해 자가발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 활성탄 필터 등 네 종류의 필터를 한꺼번에 갖추고 있다. 모래부터 유기물, 미생물, 중금속까지 모두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수학적 사고력이 얼마나 되는지를 평가하죠. 여기서 면접 기출 문제 하나를 소개할까요? 정수 a에서 b까지 더하는 알고리즘을 짜는 거예요. A라는 프로그래머는 a부터 a+1, a+2, a+3, …,b까지 모두 더하라고 프로그램을 짰어요. B라는 프로그래머는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해서 계산했죠.이때 한 ... ...
- 정육면체의 180˚ 변신 장미 큐브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짝수면 2n개의 꽃잎이 그려진다. 결국 4n+2개의 꽃잎을 가진 장미는 그릴 수 없다. n이 정수가 아닐 때에는 여러 개의 꽃잎이 겹쳐서 나타나고, a의 값에 따라 꽃잎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진다. 수학에서 장미는 한 점을 기준으로 생긴 원의 합을 뜻하기도 한다. 각각의 꽃잎은 한군데서 모두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물론 내가 증명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별로 들이지 않았던 것도 있다. 그래서 옥스퍼드 정수론 세미나에서 메이나드의 지도교수였던 로저 히스브라운으로 하여금 이 내용에 대해서 강연해 줄 것을 부탁했다.그런데 지난주 목요일에 강연을 마치면서 히스브라운은 ‘이 증명이 아름답다고 할 수는 ... ...
- [생활] 아르키메데스가 지수 표기법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하고, 지수로 음의 정수나 분수는 사용하지 않고 양의 정수만을 사용했다.음의 정수와 분수를 지수로 사용한 주인공은 영국의 과학자이자 수학자인 아이작 뉴턴이다. 뉴턴은 1676년 런던왕립협회의 서기였던 헨리 올덴버그에게 자신이 12년 전 발견한 ‘일반화된 이항정리’에 대해 설명하는 편지에 ... ...
- 수학 문제 증명했더니 그 크기가 무려 13GB?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있습니다. 이 수열은 2의 배수(2, 4, 6, 8,…) 또는 3의 배수(3, 6, 9, 12,…)와 같이 특정 정수의 배수에 해당하는 항들의 합이 2를 넘지 않습니다. 즉, 이 수열의 불일치 값은 2라고 말할 수 있죠.그렇다면 이번에 증명하신 내용이 에르도스 불일치 문제를 풀어낸 건가요?정확히 완벽한 증명이라고 말할 수는 ...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요. 그는 해석학을 전공했지만 필즈상을 수상한 업적은 정수론이에요. 최근에는 수리물리학 연구도 하고 있는 걸로 알아요. 저도 그처럼 다양한 수학연구를 했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지금도 늦지 않았겠죠? 그래서 틈틈이 수학연구를 하고 있답니다.제임스 ... ...
- 수학자에게 기쁨을 주는 숫자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인정한 최초의 국가다. 인도의 수학자들은 다양한 방정식 해법을 연구해 대수학과 정수론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12세기의 바스카라(1114~1185)도 그 중 한 사람이다. 바스카라는 수학자이자 ‘우자인천문대’의 책임자인 천문학자였다. 그는 저서 ‘릴라바티’를 통해 이차방정식, 삼차방정식,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