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액
바늘
가시
spit
d라이브러리
"
침
"(으)로 총 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입에
침
이 고이는데 음식물의 소화과정에도 수많은 효소가 쓰여 분해와 흡수를 돕는다.
침
에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가 포함돼 있다. 위에서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펩신이 이자에서는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인 리파아제가 분비된다. 만약 몸속에 멸균상태가 유지되고 ... ...
제5회 바이오 현미경사진전 현미경 속 작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두 마리가 다정하게 입맞춤을 하고 있어요. 드디어 사랑이 결실을 맺었나 봐요. 긴수염황
침
개미의 가슴과 배 사이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400배 확대했더니 이렇게 아름다운 모습이 나왔어요. ◀목걸이●입선/고등부/정성훈식빵에 생긴 거미줄곰팡이를 확대하니 이렇게 예쁜 목걸이가 되었어요.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살지만 드물게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도 있다. 코모도왕도마뱀의
침
에는 치명적인 박테리아가 있어 물리면 감염에 의해 죽을 수도 있다. 기린이야, 얼룩말이야?두 종류의 동물을 합성해 놓은 듯한 동물은 있다? 없다? 정답은‘있다!’다. 아프리카 중부의 콩고에 사는 오카피는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사람에게 감염되면서 발생했다. 사스에 걸리면 열과 기
침
이 나고 호흡곤란을 겪는다.
침
, 콧물, 가래 등 환자의 분비물에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되며 전염성이 높다. 개나 돼지 등 동물의 경우에는 백신이 나와 있지만, 2002년 발견된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은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외치는 닥터고글.“알았어요! 범인은 바로 이 안에 있습니다! 범인은 바로….”모두
침
을 꿀꺽 삼키며 닥터고글의 손가락 끝을 바라본다. 그런데 닥터고글이 가리킨 건 바로 백설공주가 아닌가!“백설공주 자신이에요!”다들 영문을 모르겠다는 표정을 짓자 닥터고글이 설명한다.“백설공주는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출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또 화성의 반구가 다른 반쪽보다 상대적으로
침
하된 사실도, 심지어 달이 형성된 과정도 모두 소행성과의 초대형 충돌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오고 있다.가장 최근에 일어난 대충돌 현장은 시베리아에 있다. 1908년 6월 시베리아 퉁구스카 고원을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70cm가 넘는 발톱이 3개나 달려 있다.평소에 풀을 즐겨 먹다가 다른 공룡이 자기 영역에
침
입했을 때 공격한다.아시아(몽골)에서 화석 발견. 다큐에서 점박이와 마지막 결투를 벌인다.공룡 어미가 알에서 깨어 나오는 새끼를 바라보는 장면.공룡과 깨진 알을 3차원 CG로 만든 뒤 둥지가 있는 배경 영상과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가냘픈 암컷에게 화끈한 입맞춤을 하려는 장면처럼 보이지만, 알고 보면 긴수염황
침
개미(Hypoponera nippona)의 가슴과 배 사이 허리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즉 가슴 마디 중 하나인 전신복절이 배자루마디와 이어진 부분인데, 각각 눈처럼 보이는 것은 기문(숨구멍)이다. 배율 400배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가장 짧은 때이므로 태양의 고도가 일 년 중 가장 높은 하지를 나타낸다. 반면 b는 영
침
막대의 그림자 길이가 가장 긴 때이므로 일 년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은 동지를 나타낸다. 3) 다음 그림과 같이 Pb 방향은 동지 때 햇빛이 비추는 방향이고, Pa 방향은 하지 때 햇빛이 비추는 방향이다. 그러므로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급증한 게 단지 우연은 아니겠죠?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말이 있잖아요. 지나
침
은 모자람만 못하다. 뭐 꼭 채식주의자가 되라고 까지는 얘기하지 않겠지만 건강과 환경을 생각해 지나친 육식은 자제해주세요.젖 안 짜주면 죽을 수도 있다구요 그러고 보니 주로 저희 고기소 얘기만 했네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