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에너지 ‘핵융합’, 한국 부품으로 첫 단추
2014.12.02
43.7㎜의 스테인리스강 튜브 안에 지름 0.82㎜짜리 초전도 선재 900
가닥
과 고순도 구리선 522
가닥
을 넣은 것으로, 초대형 두루마리에 760m씩 말아 총 27개를 공급한다. 선재의 길이를 모두 합하면 지구의 약 반 바퀴 길이인 1만8000km에 달한다. 핵융합연 측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한 초전도 도체는 ... ...
막나가는 세포분열 막는 새 ‘브레이크’ 발견
2014.11.04
RNA가 체세포 분열 중기에 PKR 효소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함께 확인했다. 이로써 이중
가닥
RNA가 PKR 효소를 활성화시켜 체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최초로 밝혀졌다. 김 단장은 “체세포분열의 결함은 암세포 초기 발달의 특징 중 하나인 만큼 이번 연구결과가 암세포 생성 과정을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부분을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것이다. 새처럼 보이는 부위의 실제 크기는 머리카락 한
가닥
과 비슷하다. 이 더듬이는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어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
“나 그렇게 만만한 대장균 아니야”
2014.09.21
단백질은 11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단백질의 작용을 이끄는 ‘가이드 RNA’
가닥
도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 RNA는 마치 ‘센서’처럼 바이러스의 DNA를 찾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RNA가 어떤 물질을 침입자의 DNA라고 판단하면 단백질은 이 물질을 붙잡아 없애버릴 수 있도록 모양이 변하게 된다. ... ...
유전자 완전히 같은데 ‘노이즈’ 생기는 이유
2014.09.02
DNA의 유전정보를 본뜬 RNA를 이용해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RNA중합효소는 DNA 한
가닥
을 본떠 RNA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대장균의 RNA중합효소와 같은 역할을 하는 ‘T7 RNA중합효소’의 농도를 조절하면서 생산된 단백질이 달라지는 정도를 관찰했다. 그 결과 이 효소의 농도가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DNA 염기서열은 전혀 변화가 없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즉 DNA 염기분자나 DNA
가닥
을 감싸고 있는 실패 같은 단백질인 히스톤 분자의 표면에 화학적 변형이 일어나 유전자의 발현 패턴이 바뀌면서 일어나는 변이다. 후성유전학이라는 말은 이런 변이가 유전됨(세포 또는 개체 차원에서)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DNA가 원래 감겨 있어야 할 히스톤 단백질에 잘 감겨 있지 못하도록 만들고, 그 결과 DNA
가닥
은 끊어지고 만다. 이런 DNA 손상 역시 아기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다. 이밖에도 아기가 태어나면 엄마와 아빠의 호르몬 분비는 어떤 변화를 겪는지, 아기가 울 때 엄마 뇌는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 이번 주 ... ...
‘RNA 막’으로 항암제 전달한다
과학동아
l
2014.07.14
수 있었다. 이 막은 간단한 조작으로 표면의 거칠기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었다. RNA
가닥
사이의 수소결합 수를 줄이면 막이 거칠어지고, RNA의 농도를 낮추면 두께가 얇아지는 식이다. 연구진은 RNA 막을 약물전단체로 활용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막에다가 항암제 물질인 ‘독소루비신’을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자체도 실제는 이론과 달리 여러 문제점이 나오고 있다. 즉 엉뚱한 자리에 가서 DNA
가닥
을 자르기도 하고 모든 임의의 염기서열을 인식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여러 일이 그랬듯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오면 개선 또는 혁신의 속도를 빨라지게 마련이다. 저자들도 논문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속이 채워진)이고 거품 막이 세포외기질인 셈이다. 콜라겐은 3중나선 구조로 국수
가닥
을 연상하면 되는데, 따라서 이대로라면 기저막에 깔아도 튼튼하지 못하다. 따라서 콜라겐 사이에 화학결합이 일어나 서로 엮이면서 거대한 그물망이 형성되면서 세포외기질이 튼튼한 구조를 지니게 된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