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가닥"(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컴퓨터 세계를 여는 DNA동아사이언스 l2013.10.04
- 파일 739킬로바이트(KB)의 디지털 데이터를 염기 서열로 전환해 117개의 염기로 된 DNA 가닥에 기록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특정 문자를 A, T, G, C 네 종류의 염기서열 정보를 조합해 DNA에 기록했다. 이렇게 기록된 DNA 조각을 이어 붙여 정보가 끊기지 않도록 만들었다. 또 DNA에 기록된 ... ...
- '뚝딱뚝딱' 손상된 DNA 치료방법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3.09.16
-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 필요하다. 생식세포의 복구과정에서는 상동염색체가 주형가닥으로 선택되는데, 이 역할을 하는 물질이 ‘Dmc1'단백질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김 교수는 “ 이 연구결과가 궁극적으로 암 초기 발생 원인에 대한 과정이나 다운증후군 등 염색체 이상 질환의 ... ...
- 양성자가속기는 "응용과학에 폭넓게 활용"동아사이언스 l2013.09.06
- 것. 김계령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연구원은 “양성자빔은 DNA 한 가닥을 끊으면 흡수되는 X선과 달리 이중나선을 동시에 끊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변이체를 만들 수 있다”며 “가속기를 이용한 식물 품종 개량은 2011년 기준으로 4390억 원 규모의 국내 종자시장은 물론이고 ... ...
- DNA-그래핀 결합시켜 연료전지 성능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13.08.13
- 복합물질 합성 모식도. DNA와 산화그래핀을 함께 10분 가량 가열하면, DNA의 이중가닥이 한 가닥씩으로 풀려 그래핀과 결합해 '하이브리드 물질'이 만들어 진다. 여기에 피리딘염화백금을 넣으면, 백금이온이 그래핀과 결합해 있는 DNA 상의 무수한 개별 염기들과 강하게 결합하는데 여기에 환원제를 ...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8.12
- 시달린다는 업계의 입장도 계속 묵살할 수 없기 때문에 인상폭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우유 소비량은 2011년 자료에 따르면 연간 1인당 27리터. 많아 보이지만 1년 365일로 나누면 하루에 100밀리리터도 안 된다. 거의 매일 우유 한 잔을 마시는 필자는 평균의 두 ... ...
- [단독]한국형발사체개발, 항우연에서 전담하기로 사실상 결정동아사이언스 l2013.08.06
- 해체되면 나로호 이후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은 항우연이 직접 담당하게 될 것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5일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개방형 조직으로 출범한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단의 조직을 항우연이 직접 컨트롤하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 논의가 이뤄졌다”며 “2011년 당시 개방형 ... ...
- 반구대 암각화, 투명댐 세워 보존동아일보 l2013.06.17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동연 국무조정실장이 서명했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의 가닥이 잡힌 것은 2003년 울산시가 서울대에 연구용역을 의뢰한 지 10년 만이다. 카이네틱댐은 내구성이 강화유리의 150배 이상인 폴리카보네이트라는 고강도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이다. 수위 변화에 ... ...
- 웅진케미칼 기술 연구소 “물산업 핵심은 필터… 모듈 1개로 90t 정수”동아일보 l2013.05.20
- 그만큼 다양하다. 평평한 천 모양, 두루마리 휴지 같은 형태를 비롯해 파이프나 국수가닥처럼 생긴 필터도 있다. 물을 걸러내는 것도 있고 공기를 걸러내는 것도 있으며, 연료전지 용해액이나 사람의 피를 걸러내는 데 쓰이는 제품도 있다. 차봉준 수석연구원은 “웅진케미칼이 만드는 필터는 종류가 ... ...
-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5.10
- 허락된 것은 시베리아의 혹독한 기후와 3주의 짧은 시간. 탐사팀은 얼음 절벽을 한가닥 밧줄에 의지해서 내려가고, 무너져 가는 동굴에서 가까스로 탈출하며, 드디어 잘 보존된 매머드 샘플을 찾아내는데… 시베리아에서 채취한 매머드 샘플을 한국으로 가져온 탐사팀은 결국 세포핵을 찾아내는데 ...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좀 복잡하다. 즉 숙주세포에 감염한 뒤 RNA게놈을 바탕으로 DNA가닥을 합성한 뒤 이 DNA가닥이 세포핵 안으로 이동해 숙주게놈에 끼어들어간다. 그런데 RNA에서 DNA를 합성하는 바이러스 효소는 AZT에 속아 넘어간 것. 실패한 항암제에서 20세기 흑사병에서 인류를 구한 항바이러스제로 AZT의 운명이 ... ...
이전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