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안위, 해양 방사능 분석 현장 점검…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비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해양 방사능 탐지를 위해 해양 환경방사능 감시체계를 강화해 왔다. 해양 방사능 감시
지점
은 2021년 32곳에서 지난해 34곳으로 늘렸고 올해 40곳으로 확대했다. 감마선을 내는 방사선 동위원소인 세슘(Cs)-137은 연 6회, 삼중수소는 연4회 감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 ...
심해 미생물, 햇빛 없이 살아남는 이유는 '수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해수에서 수소의 산화 양상을 관찰했다. 분석 결과 수소의 산화 속도는 해수를 수집한
지점
의 깊이와 관련이 있었다. 더 깊은 곳일수록 그리고 수온이 높을수록 수소는 빠른 속도로 산화했다. 특히 해수면에서 채취된 해수와 비교했을 때 깊은 바닷속에 있는 해수에서 차이가 극명했다. ... ...
5만년 만에 찾아온 녹색혜성…"2일 새벽 관측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부근 고도 약 40도 정도에서 혜성을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근
지점
을 지나고 난 뒤에는 달빛이 밝아 관측하기 어렵다. 달이 없는 2월 10일 전부터 2월 중순까지는 새벽 시간대 6등급 정도의 밝기로 혜성을 관측할 수 있다. ZTF 혜성은 지난해 3월 미국 샌디에이고 팔로마 ... ...
"우주를 손끝으로 탐험"...국내 첫 NASA 점자촉각도서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달 모양을 따라가다 보면 깊은 달 분화구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아폴로 우주선 착륙
지점
도 만날 수 있다. 점자촉각도서는 그림을 볼록 튀어나오게 하거나 점자로 그림을 표현해 손끝 촉각으로 그림을 인지하게 하는 책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기한림원)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만지는 ... ...
트럭 크기 소행성, 27일 위성보다 더 가깝게 근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보인다. 스카우트를 개발한 JPL 엔지니어 다비데 파르노치아는 “지구와 아주 가까운
지점
을 지나갈 것”이라며 “역대 관측된 지구 근접체 중 가장 가까운 개체일 것”이라고 말했다. 2023 BU는 지구를 스쳐지나면서 지구 중력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구와 거의 비슷하게 359일 주기로 ... ...
모래사장도 거침없다...KAIST 연구진,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원뿔 모델'과 '쿨롱 마찰 모델'이 사용됐다. 입상 원뿔 모델은 수직 방향에서 접촉하는
지점
을 점으로 지정해 힘의 작용을 계산한다. 쿨롱 마찰 모델은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무게를 바탕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을 확인한다. 데이터를 통한 학습만으로는 실제 외부환경에서 작동할 때 성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약 40억 년 전 생명이 바다에서 시작됐다는 ‘심해 열수구 가설’이 설명하기 어려운
지점
이다. 초기 생물(아마도 단세포)은 세포와 외부(바다)를 나누는 막이 단순했을 것이므로 세포질의 조성이 바다와 비슷했을 텐데 그렇다면 당시 바다는 칼륨이 많고 나트륨이 적어야 한다. 그러나 지질 분석 ... ...
“지구 내핵 회전에 변화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내핵의 회전이 2009~2011년 사이 멈췄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지구 전역의 여러
지점
에서 변화가 관찰됐다”며 “내핵 표면의 국부적 변화가 아닌 지구 전체의 현상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내핵의 회전에 주기가 있다고 분석했다. 대략 70년 주기로 내핵의 회전이 멈췄다 다시 ... ...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01.21
탑재된 섀도캠이 촬영해 지구로 보내올 자료들이 2025년 아르테미스 3호기의 착륙
지점
을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는 2023년 새해부터 약 1년간 달 상공 100km에서 궤도를 돌며 달 표현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과학동아 DB ● 주도적인 우주탐사 협력, ... ...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지구 닮은꼴 행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발사가 목표다. 지구에서 150만 ㎞ 떨어진 ‘제2라그랑주 점’에 보낸다는 계획이다. 이
지점
은 중력과 원심력이 상쇄돼 빛의 왜곡이 없기 때문에 우주 관측에 유리하다. 클램핀 부장은 “HWO는 아직 초기 계획 설계 상태”라며 “예산 확보 문제 등 프로젝트를 구체화하는데 아직 시간이 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