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09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추락 위성 한반도 상공 지나간듯…피해상황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9일 밝혔다. 현재까지 특별한 피해상황은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한 추락
지점
및 시각은 미국 합동우주사령부 연합우주작전센터(CSpOC)에서 공식발표할 예정이다. 미국은 위성의 추락을 관측했거나 1시간 30분~2시간 동안 관측되지 않은 경우 추락했다고 판단한다. 과기정통부는 9월 ... ...
[주말N수학] 수학계가 시끌...이탕 장이 '리만 가설'을 풀었다고?
수학동아
l
2023.01.07
수학자 대부분은 이 영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장 교수가 증명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특정
지점
에서 영점이 없다는 것을 보인 것이기 때문에 더더욱 리만 가설과 관련이 없다. 란다우- 지겔 영점 문제란. 수학동아 DB ● 11월 4일 논문 공개 기사가 나가고 며칠이 지난 11월 4일 장 교수는 논문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써도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는 이들에게
2023.01.07
수 없다고 믿으면 노력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출발
지점
이 비슷하더라도 변할 수 있다고 믿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더 높은 성과를 이뤄내곤 한다. 이렇게 '믿음'은 주관적이지만 우리의 행동을 주관하며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꼭 ... ...
인간의 영향은 어디서부터였을까…'인류세' 세부기준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올해 국제층서학위원회(ICS) 인류세 워킹 그룹(AWG)의 투표 결과에 따라 인류세를 결정 짓는 세부내용이 정해질 예정이다. LISA SHEEHAN 제공 올해 상반기 전 세 ... 미친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이번 투표는) 이런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점
이 어딘지를 찾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 ...
중국발 입국자 코로나 검사 의무화...새해 2월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EU) 보건부에 서한을 보내 중국발 여행객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의무화를 EU 전역의 입국
지점
에서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EU 보건당국은 EU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할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29일(현지시간) 이런 흐름에 ... ...
차세대 정보소자 구현할 새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교차하면서 마디를 이루게 되는데, 바로 이 마디
지점
이 위상학적인 특이성을 나타내는
지점
이 된다. 위상물질은 기존 물질에서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위상 양자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위상 양자 효과는 전자의 파동함수가 기존의 ‘양자 전도 효과’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양자 전도 ... ...
천문연, 중국 로켓 잔해물 추적한 기술 한화시스템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올해 중국 창정5B 로켓 잔해의 지구 추락 등 인공우주물체가 지구로 떨어질 때 추락
지점
및 시간을 정확히 예측했다. 특히 올해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열린 '글로벌센티널 2022(미국 우주군 주관 우주상황인식 훈련)'에 참가해 25개 참가국 중 미국 외 유일하게 독자적인 ... ...
'뇌 먹는 아메바' 국내 첫 사망 사례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온천 등 민물과 토양에서 발견된다. 한국에서는 2017년 전국 상수원 조사 당시 52개 중 6개
지점
에서 파울러자유아메바 유전자가 검출되면서 존재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 파울러자유아메바 감염이 최초 보고된 것은 1937년이다. 미국 버지니아 감염자 조직에서 첫 사례가 나왔다. 2018년까지 전 ... ...
지질연 "10월 발생 규모 4.1 괴산지진은 조곡단층대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한 번도 일어나지 않은 곳이다. 하지만 1978년 9월 괴산지진 진앙에서 약 30km 떨어진
지점
에서 규모 5.2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어 안정성을 장담하기는 어려운 지역이었다. 지질연 지질재해연구본부 연구팀은 괴산지진 발생 당일 현장에 연구팀을 급파해 임시지진관측소 4개소를 설치해 운용했다. ... ...
[프리미엄리포트] 10년간 힉스 입자 1000만개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12.17
전자, 강입자(2~3개의 쿼크로 이루어진 입자), 뮤온 신호를 찾는 각각의 검출기들이 충돌
지점
을 양파껍질처럼 감싼 구조로 만들어졌다. RPC는 이중 가장 바깥 껍질에 들어간다. RPC 내부에 좁은 틈이 있는데, 이 틈에 특수 기체를 넣고 고압의 전기장을 걸어주면 통과하던 뮤온이 특수 기체를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