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공장' 방사광가속기 신약·반도체 개발의 '씨앗'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가능하다. 흔히 병원에서 사용되는 X선은 가시광선이 통과하지 못하는 피부나 근육을
투과
해 뼈의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X선으로는 심장근육의 움직임과 진동도 볼 수 있다. 2016년 준공된 4세대 선형 방사광가속기가 만드는 빛은 3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 ...
배송 식품 변질 가능성 쉽게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모습이다. 가느다란 실이 교차된 형태의 나노섬유 구조가 서로 엉겨 붙어 뭉치면서 빛이
투과
하게 된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온도를 측정하는 핵심 기술은 앞 면의 나노섬유에 있다. 나노섬유는 저온 상태에서는 가는 섬유가 마치 까치집과 같은 구조로 복잡한 구조를 형성해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처음 만나는 나노입자의 다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2nm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원자인 수소 원자의 6분의 1 크기다. IBS 연구팀이 개발한 액상
투과
전자현미경 기술로 백금입자를 관찰한 사례다. 위부터 아래로 8개의 입자를 관찰했다. (a)는 원자가 발견될 확률을 표시한 원자밀도 지도이고 (b)는 따로 추적한 원자 위치 정보를 지도화한 것이다. (c)는 ... ...
원자 하나까지 세밀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액체셀’을 만들었다. 그 뒤 ‘액상
투과
전자현미경(Liquid cell TEM)’을 이용해 전자를
투과
시켜 액체 속 나노입자의 영상을 1초에 400장의 속도로 촬영했다. 시료 속 원자는 끊임없이 회전하기 때문에 정확한 구조와 위치 파악이 어렵다. 연구팀은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해 원자 하나하나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의 구조적 특징과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치료 전략
2020.04.02
야기하고 있다. 스파이크단백질과 단백질가위 합작으로 침투 코로나바이러스를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면, 바이러스 막 바깥쪽 표면에 돌기형태의 단백질(스파이크단백질)이 촘촘히 달려있는 구조를 볼 수 있다. 그 형태가 태양의 코로나와 비슷해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 ...
[과학게시판] 이화여대 산단-아이큐어비앤피와 기술이전 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상태다. 아이큐어비앤피는 ‘세포막
투과
성을 갖는 펩타이드 기술’과 ‘인슐린 점막
투과
개선용 조성물’ 등 2건의 기술을 도입해 글로벌 시장 진출 기술을 개발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최영권 아이큐어비앤피의 대표는 “이 기술은 점막 조직침투능이 뛰어나 바이오약물을 코 점막을 통해 ... ...
'전기화학 스위칭 소자' 쩍쩍 갈라 이온 고속도로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조절했을 때 전기 및 광학적, 기계적 특성이 바뀌는 소재다. 소자에 가한 전압에 따라
투과
도와 변형률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해 스마트 윈도우나 구동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산화바나듐(VO₂) 소재가 대표적으로 쓰인다. 이 소자의 성능은 이온의 이동 속도를 조절해 바꿀 수 있다. 연구팀은 ... ...
폴더블폰의 핵심 ‘커버윈도우’, 새로운 소재로 완성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투명폴리이미드(CPI, Colorless Polyimider)가 사용된다. CPI는 빛
투과
율이 높고 깨지지 않으며 수십만 번을 접어도 견디는 내구성이 강점이다. 하지만 유리 소재보다 긁힘에 약하고 접히는 부분에서 주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단점 때문에 최신 폴더블폰들은 초박막 ... ...
"마스크 써서 호흡곤란? 그럴 땐 벗으세요…증상 악화시킬 수도"
연합뉴스
l
2020.03.05
4%, KF99는 99% 차단하는 의료용 마스크다. 숫자가 높으면 차단 효과가 크지만 그만큼 산소
투과
율이 낮아 숨쉬기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코로나19 경계감에 무조건 입자차단 성능이 좋은 제품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KF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라면 된다는 게 당국과 의료계의 설명이다. ... ...
현미경으로 보고 초음파 쏘아 살아있는 근육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보여준다. 그러나 생체조직을 관찰할 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빛이 생체 조직을
투과
할 때 직진광과 산란광 두 종류의 빛이 생긴다. 직진광은 말 그대로 생체 조직의 영향 없이 직진하는 빛이다. 산란광은 생체 조직 내 세포나 세포 내 구조의 영향에 의해 진행 방향이 무작위로 굴절된 빛이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