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10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1.11.20
자유곡면 거울) 제작 업체를 찾는 것도 난관이었다. 반사경은 깎을 때 미세한 수준의
흔적
만 생겨도 별 관측에 영향을 받기에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세밀하게 깎는 기술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런 기술을 가진 회사는 손에 꼽았다. 연구비도 충분하지 않았다. 다행히 그린광학이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심장 발달 유전자 망가뜨려 한 곳에 머무르는 삶 바꾼 유형류
동아사이언스
l
2021.11.20
디오이카(Oikopleura dioica)의 유전자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심장 유전자에서 진화의
흔적
이 나타났다고 18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오이코플레우아 디오이카는 전 세계 바다에서 발견되는 길이 0.5~1mm의 작은 생물이다. 머리와 꼬리를 가져 올챙이와 모습이 비슷하다. 피낭동물에 속하지만 멍게나 미더덕이 ... ...
19세기말 한양 도성엔 범 거닐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상세히 담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 일기에서 한양 도성에 등장한 아무르표범의
흔적
을 찾았다. 조선 후기에 속하는 1870~1900년 사이 기록을 중점으로 살펴본 결과, 이 기간 표범이 살았다는 내용을 12건 확인했다. 일례로 미국의 의사이자 장로교 선교사였던 릴리아스 언더우드는 1888년 러시아 ... ...
[표지로 읽는 과학] 38억년 전 화성, 홍수
흔적
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1.07
이곳의 비공식적인 이름은 '코디악 언덕'이다. NASA는 이곳에 과거 생명체가 살았다는
흔적
이 있을 것으로 보고 퍼서비어런스를 보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퍼서비어런스가 지난 4월 18일 보내온 예제로 크레이터 사진을 5일 표지로 실었다. 퍼서비어런스는 화성에 착륙한 2월부터 마스트캠Z ... ...
차 사고를 낸 사람의 메시지
팝뉴스
l
2021.11.02
승용차의 앞부분이 크게 파손되었다. 누가 그랬는지는 불명확하지만, 사고를 낸 사람은
흔적
을 남겼다. “미안하다”는 메시지를 차 표면에 써 놓은 것이다. 연락처는 없이 미안하다는 말만 남겼다는 그 사람의 심사는 무엇일까. 정말 사과하는 것일까. 아니면 놀리는 것일까. 해외 ... ...
1초에 100경회 계산...'엑사급' 슈퍼컴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1
CMS)에서 얻은 입자 간 충돌실험 데이터를 분석해 아직 관찰된 적이 없는 초대칭 입자의
흔적
을 찾고 있다. 학자들은 보통 입자(표준모형 입자)가 초대칭 입자와 ‘보이지 않는 짝’을 이루고 있어야만 여러 자연의 난제들도 설명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막대한 실험데이터 분석에는 최근 ... ...
중국 신장위구르 분지서 발견된 4000년된 서양인 외모 미라, 알고보니 토착민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침엽수림 지역에서 살던 고대 북유라시아인(ANE)이 조상이라는 분석이다. 이들의 유전적
흔적
은 현대 인구 게놈에서 극히 일부만 발견된다. 시베리아와 아메리카 대륙의 토착인구 중에는 약 40% 비율로 발견된다. 타림 분지 미라는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를 뜻하는 홀로세 인류와는 게놈적으로 ... ...
조선시대 문헌 '택리지' 염전 기록으로 한반도 해수면 취약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시추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여러 지점에서 과거 갯벌의 증거가 되는 고토양의
흔적
을 찾을 수 있었다. 고토양은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 갯벌 흙이 공기 중에 노출돼 만들어져, 과거 이 지역이 지표면이었음을 밝히는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 시추한 고토양을 분석한 결과, 1530년 무렵에는 염전 ... ...
5000년 역사 옻칠의 품질 기준 과학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5
이 성분은 5000년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됐는데 앞서 전남 여수의 고인돌에서 발견된 옻칠
흔적
보다 2500년 더 오래된 것이다. 옻칠에 사용되는 옻나무에서 나온 진은 방수, 방충, 방염 등 외부 물질을 차단하는 효과가 크다. 이런 이유로 제기·공예품·가구 등의 마감재로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
과학동아
l
2021.10.13
지형인 ‘터널 협곡’이 생겼다가 퇴적되길 반복하며 여러 겹 쌓인
흔적
이 영국 남극조사연구소 연구팀이 만든 새 3차원 지도에 드러났다. 제임스커크햄/지질학 제공 북해 바닷속에 숨겨져 있던 빙하기의 지형이 다시 세상에 드러났다. 온난화 기후에서 빙하가 지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중요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