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08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플라스틱 쓰레기 지구에 영구적
흔적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남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지구의 역사와 탄소 순환에 영구적인
흔적
으로 남을 것이란 전망이다. 플라스틱은 열 또는 압력에 의해 성형할 수 있는 유기물 기반 고분자 물질과 그 혼합물을 뜻한다. 가벼운데 반해 단단하고 질긴 성질이 있어 액체류를 담는 통으로 많이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하천에 방류해도 좋을 정도로 깨끗해지지만, 이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못한 ‘인간의
흔적
’이 한강 물에는 여전히 일부 남아 있다. 의약품 성분이 대표적이다. 김현욱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한강 탄천과 중랑천 등 한강 지류에서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5 억제제’를 검출했다고 ... ...
2만 년 전 한반도에는 이미 코로나 감염병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변화시켜 인류의 진화를 촉진시킨 동인이기도 하다”며 “유전체에서 바이러스의
흔적
을 찾는 일은 과거 감염병을 일으킨 바이러스를 찾아내고 이를 통해 향후 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에너드 교수는 4만 년 전 돌연 사라진 네안데르탈인 ... ...
또 밝혀진 코로나 '비밀 무기', 뇌 밖에서 뇌 염증 일으킨다
연합뉴스
l
2021.06.23
그런데 피질의 가장 바깥층에서 흥분 뉴런의 억제 신호와 억제 뉴런의 강화 신호
흔적
이 발견됐다. 이런 종류의 신호 불균형은 알츠하이머병 같은 신경 퇴행 질환이나 인지 기능 결함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사망 환자의 뇌 조직에 T세포가 훨씬 더 많다는 것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24주 이전 태아까지 그러다가 이후 이런 능력을 잃는 것으로 밝혀졌다. 포유류 상처 치유
흔적
유무의 미스터리가 50년 만에 풀렸다. ‘생의학공학 연감’ 제공 ○ 섬유아세포의 변신 막아야 피부에 있는 여러 세포 가운데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상처 회복에 가장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그런데 ... ...
태양계 불지옥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8
포톤에서 37kg 무게의 대기 탐사선을 금성 고도 50km에 내려보내 대기에서 생명의
흔적
을 찾는 게 목표다. 로켓랩은 이를 위해 포스핀을 발견한 연구팀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인터뷰]“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06.12
이유로 부표 위에 자리잡았을까. 푸른색 부표 위에 위태롭게 자리잡은 홍합과 해조류의
흔적
이 환경오염이라는 문제를 짊어진 지구의 모습을 보이는 듯하다. 2019년 제주에서 마주한 뉴락을 촬영한 사진이다. 장한나 제공 장 작가는 “당시에도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하다는 것을 알고 ... ...
예술품보다 훨씬 예술작품 같은, 신을 쫓는 기계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피터 힉스 영국 에딘버러대 교수의 사인이 담긴 헬멧도 전시된다. 노벨상 수상자들의
흔적
을 볼 수 있다. 피터 힉스 영국 에딘버러대 교수의 사인이 담긴 헬멧. 한양대 제공 이번 행사에서는 우주를 주제로 작품 활동을 해온 예술가들의 작품도 함께 전시된다. 실제CERN에서 일하는 과학자이자 ... ...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
과학동아
l
2021.06.01
모습. 위키피디아 제공 화성을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 5만 년 전 분출된 용암의
흔적
을 찾아냈다. 지질학적으로 5만 년 전은 ‘최근’의 일이다. 미국 애리조나대 달 및 행성연구소와 스미스소니언 국립항공우주박물관 공동연구팀은 위성 데이터를 통해 화성 적도 부근의 지역인 엘리시움 평원에서 ... ...
노벨상 4번 받은 중성미자…미·일 투자 더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가미오칸데로 1987년 대마젤란은하에서 초신성이 폭발할 때 방출된 중성미자 11개의
흔적
을 확인해 노벨상을 받았고, 가지타 소장은 뒤이어 설치된 슈퍼-가미오칸데로 중성미자를 확인했다. 가지타 소장은 “중성미자는 태양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이나 초신성 폭발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