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스페셜
"
글
"(으)로 총 6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바스크인의 선택 온라인상에서 떠도는 혈액형별 성격, 궁합 등의 콘텐츠. 구
글
캡쳐 아마 O형 혈액형은 열대열 말라리아 감염에 내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원충에 감염된 적혈구는 PfEMP-1이라는 단백질을 발현시키는데, 감염되지 않은 다른 적혈구 등과 결합하여 신속한 감염을 돕는 기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엑시트(eggXYt)라는 회사가 상업화에 가까운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
을 읽으며 ‘이렇게 한가한 연구를 다 하나?’라고 생각하는 독자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예전에 유럽에서 화장품 개발 과정에서 동물실험을 금지하는 움직임을 보였을 때 ‘지나치다’고 생각했지만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선사 시대가 끝나고, 역사 시대가 시작되었다. 도시 문명을 이룬 인간은 문자를 만들어
글
을 쓰기 시작했고, 그 옆에는 모기가 왱왱거리고 있었다. 아마 수천 년 전 비옥한 초승달 지역의 어느 마을에서는 연신 모기를 쫓아내며 점토판에 쐐기문자를 새기는 사람이 있었을 것이다. 말라리아에 관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에게만 초점을 맞추면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2019.08.17
다른 조건의 사람들에게는 실패를 맛보게 한다. 그러고나서
글
을 쓰게 하거나 어떤
글
에 ‘나’와 관련된 단어들이 몇 개나 나오는지 세어보라고 한다. 그러면 우울하지 않은 사람들은 실패했을 때보다 성공했을 때 더 자신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는 경향을 보인다. 실패했을 때보다 성공했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의문이다. 얼마전 사이언스지는 ‘비민주성: 과학계의 불균등’이라는 제목의
글
을 통해 과학자사회의 불평등이 지난 10년간 변해온 과정을 분석했다. 이 분석에서 지난 10년간 국가간 불평등은 완화되어 왔고, 이런 과정에는 세계화와 인터넷 등의 영향이 지대했다고 한다. 하지만 대학 또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
2019.08.01
학문' 제조공장의 비밀' 편 https://www.youtube.com/watch?v=5WUgDNiEzNg -과학기술인협회’로 구
글
검색을 하면 가장 먼저 뜨는건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의 홈페이지다. 한국엔 과학기술인협회가 없다. 그리고 청년과학기술인을 위한 조직도 없다.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 ...
"누에 똥으로 중력장 증폭?" 정부 연구기관이 낸 이상한 논문 철회 '망신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논문 검토를 의뢰 받고 난 뒤 블로그에 25일 동료평가 과정의 허점을 지적하는
글
을 올렸다. 필립 모리아티 교수 홈페이지 캡쳐 한편 ‘중첩중력에너지’를 다룬 논문이 국내 학술지에 세 편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이용해 국내 논문에서 ‘중첩중력에너지’를 검색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철학자이지만 본인이 직접 남긴
글
은 전해지는 게 없다. 다만 자신 못지않게 유명한 제자를 둔 덕에 후대의 사람들이 소크라테스와 그의 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 위대한 제자의 이름은 바로 플라톤이다. 나는 물리학을 연구하는 사람이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오늘 저녁을 먹고 나서 시내에 나가 쿠션이 없는 신을 사야겠다.” 이런 식으로 이
글
을 마쳐야 함에도 논문을 읽고 마음이 급해진 필자는 어젯밤에 시내에 나갔다. 그런데 막상 쿠션이 없는 러닝화가 없다. 결국 스니커즈라고 부르는, 밑창이 러닝화의 절반 두께로 얇으면서 꽤 딱딱한 ... ...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발표된 논문 330만 개의 초록을 추출했다. 초록은 논문의 앞부분에 요지를 간략히 설명한
글
을 뜻한다. Word2vec 은 여기서 약 50만 개의 단어를 추출해 단어가 내포한 뜻에 따라 200개의 숫자 배열을 부여했다. 2차원 평면에서 점에 가로와 세로의 좌표값을 부여하면 점의 위치를 알 수 있듯 단어에 20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