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마리"(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2017.01.17
- 삼촌이나 고모가 더 어린 경우가 더러 있다. 조사기간 동안 태어난 525마리 가운데 31%인 161마리가 두 세대 부모가 함께 양육하는 상태였다. 참고로 이 기준은 새끼들의 나이차가 2년 이내일 경우다. 이들이 15살에 이를 때까지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나이든 암컷의 새끼가 젊은 암컷의 새끼보다 1.7배 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수명을 길게, 즉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는 속도를 최대한 늦추게 하는 등 네 마리 다섯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야하는 게 보통일이 아니다. 지난해 갤럭시노트7 배터리 게이트를 지켜보면서 다를 실감했을 것이다. 요즘 배터리로 가장 각광받는 건 1991년 일본 소니가 처음 선보인 ... ...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 고양이, 조류독감에서 안전한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2
- 죽은 채 발견돼 주인이 경기도에 신고한 것입니다. 하루 뒤인 26일, 길고양이 새끼 한 마리가 죽은 채 발견됐지요. 두 고양이의 사체에서는 현재 조류에서 유행하는 고병원성 AI 바이러스인 ‘H5N6'가 나왔습니다. Q2. 그게 말이 되는 일인가요? 조류독감은 조류만 걸리는 거 아니었나요? 말이 ... ...
- [사이언스 지식IN]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고요?동아사이언스 l2016.12.31
- 그 수의사는 생명엔 지장이 없다고 하네요. 보통 사람은 조류독감에 걸린 고양이 한 마리를 통째로 먹어야(조류독감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가 그 정도의 양) 감염될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Q7. 우리집 고양이를 어떻게 지키죠? 만약 최근 조류독감 피해지역에 거주고하고 계시다면, 고양이가 ...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2016.12.22
- 11월 30일부터), 서산시(12월 1일부터)의 철새 탐조 프로그램을 중단했습니다. 2000만 마리의 자식 같은 닭과 오리를 잃은 농민들을 위해, 철새 탓은 이제 그만~! 하루 빨리 조류독감 사태를 진정시킬 수 있는 확실하고 효과있는 뾰족한 수가 나타나길 바라며, 이번 화 문을 닫습니다. ※취재팀주 ...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2016.12.21
- 백신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는데 3개월 이상이 필요합니다. 이미 살처분된 가금류가 2000만 마리를 넘긴 상황에서, 3개월은 너무 긴 시간이지요. 3개월 뒤에 설마 조류독감이 계속 유행하고 있진 않을테니 말입니다. 지금 유행하는 H5N6형 바이러스의 경우, 완성된 백신은 없고 백신에 들어갈 인공 ... ...
- 조류독감, 사람에게 전염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지난 11월 16일 국내에서 발생이 확인된 고병원성 조류독감(AI)은 현재까지 가금류 2000만 마리의 목숨을 뺏어갔습니다. 물론 그중 대부분의 녀석들은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고기’가 될 운명이었겠지만, 누군가에겐 자식같은 존재였고, 누군가에겐 생업의 현장이었으며, 또 다른 누군가에겐 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염기에 변이를 일이키는 약물인 ENU를 처리한 수컷 생쥐와 정상 암컷 사이에서 태어난 8000마리가 넘는 새끼들의 수면 시간과 뇌파를 일일이 조사해 이 가운데 이상을 보이는 개체들을 찾아냈다. 먼저 수면 시간이 대폭 늘어난 변이체들로, 연구자들은 이에 ‘슬리피(Sleepy)’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즉 14마리 가운데 40살이 넘은 다섯 마리 모두 노안 증세를 보였다. 40대 보노보 가운데 세 마리는 수컷이었는데, 사람과 마찬가지로 노안 진행 속도에서 암컷과 차이는 없었다. 한편 41살인 키(Ki)라는 보노보가 6년 전인 35살 때 털 고르기를 하는 비디오가 남아 있었다. 당시 털 고르기 거리를 잰 결과 1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흔적만 있을 뿐 목격되지 않고 있다. 현재 한반도 북쪽에 남아 있는 개체가 100마리도 안 되는 멸종위급종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육식 올인해 얻은 것과 잃은 것 논문의 서론(Background)을 보면서 흥미로운 사실들을 여럿 알게 됐다. 먼저 포유류 역사에서 육식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향으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