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스페셜
"
마리
"(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가 선정한 최고의 명약은 ‘신뢰받는 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있다. 하지만 진화 초기의 사지동물은 6개에서 많게는 8개의 손가락을 가지고 있었다.
마리
크미타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팀은 사지동물의 손가락이 왜 현재와 같은 5개를 가진 형태로 진화하게 됐는지에 대해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유전자 이상으로 5개의 손, 발가락을 가진 ... ...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
IBS
l
2016.10.31
만나 초강력 레이저 개발과 그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고출력 레이저의 두
마리
토끼 다 잡아 “4PW 레이저를 처음 증폭시켰던 날은 연구단에서 보낸 시간 중 가장 극적이었습니다. 레이저 개발팀은 모두가 연구실에 남아서 집에 갈 생각도 잊은 채 증폭 실험에 매달려 있었죠. 혹시나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배게 할 확률을 높이는 전략을 택한 것이다. 한편 보노보가 살고 있는 서식지(현재 2만 여
마리
에 불과하다)는 콩고민주공화국의 삼림지대로 먹이가 풍부해 다른 무리들이 만나더라도 싸우는 일이 드물다고 한다. 인류의 동족살해 폭력성의 발자취. 수렵채취인 시절에는 유인원과 비슷한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34%에 그쳤다. 고농도 그룹은 한
마리
도 살아남지 못했다. 사실 이 그룹은 14시간 뒤 단 한
마리
가 살아남았고 16시간 뒤에는 이미 강꼬치고기만 있었다. 알탕을 먹어봤으면 알 수 있겠지만 물고기들은 대체로 알을 많이 낳아 대다수가 치어 때 잡아먹히더라도 소수가 번식기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속 동물의 생태계에 주목했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먼 곳을 응시하는 표범 한
마리
가 장식했다. 사진이 촬영된 장소는 스페인에 위치한 남부 이베리아 반도. 다양한 생태계가 복합적으로 존재해 1986년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설정된 곳이다. 뉴질랜드, 덴마크 등 국제 ...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
동아사이언스
l
2016.09.19
일부러 나무토막 안에 먹이를 넣어 주면서 이들을 관찰했다. 그 결과 살아있는 104
마리
의 까마귀 가운데 78%가 나뭇가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성체 까마귀의 경우 94%가 도구를 쓰는 반면, 새끼들은 47%만이 도구 사용 능력을 보였다. 러츠 교수는 “새끼 까마귀들은 다른 까마귀의 행동을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멸종에 이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나머지 두 종도 마사이기린이 3만
마리
, 남부기린이 4만
마리
를 약간 넘는 수준이다. 코끼리나 기린처럼 멋진 동물이 더 이상 줄어들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지각구조 이해할 새 도구 찾았다… ‘폭풍 지진파’ 첫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8.28
가까운 약 4광년(약 9조4600억 ㎞) 거리에 있다. 길렘 앵글라다에스큐드 영국 런던퀸즈
마리
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스페인 안달루시아천체물리연구소와 미국 카네기워싱턴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태양계에서 약 4광년 거리에 있는 별(항성) ‘프록시마 켄타우리’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프록시마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
IBS
l
2016.07.04
앞으로 반세기를 이끌 나노 분야의 대표 과학자로 꼽히기도 했다. 기초와 응용 두
마리
토끼 잡는다 화학과 출신의 공대 교수로서 2012년부터 IBS 나노입자 연구단을 이끌게 된 현택환 단장은, 기술의 돌파구를 찾으려면 튼튼한 기초 연구에 바탕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연구단은 굉장히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뿐”이라며 구조에 기반한 방법이 불완전하지만 꽤 유용하다고 강조했다. 1990년대
마리
노트 향수의 대유행을 불러일으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캘론의 분자구조. 최근 합성화합물로 인한 문제들이 나오면서 이처럼 몇몇 사람들에게 놀라운 경험을 안겨줄 수 있지만 인류의 삶에 꼭 필요하지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