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미지 카'로부터 생태계의 미속특수촬영을 의뢰받아 놓고 있다. 미속특수촬영이란
식물
이 2,3개월동안 성장하는 과정을 20~30초내로 압축시켜 비디오로 표현하는 것. 예를들면 딸기가 싹이 터서 열매를 맺기 까지를 20초만에 움직이는 화면(비디오)으로 보여준다. 생태계 교재로는 최고봉이랄 수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너무 직선이다. 또 화성 표면 일부의 색이 여름에는 어두운 색깔로 변하는데, 이것은
식물
이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소련의 유명한 천문학자 슈클로프스키(Schlovski)같은 사람은 화성의 두 위성 포보스(Phobos)와 데이모스(Deimos)가 화성인이 이주하기 위해서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제주도의 백록담에는 수백종의
식물
상이 발달돼 있는데 반해 아소산의 화구에서는
식물
상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어요.정창희 그 이유는 백록담은 오래전에 분출을 멈추었지만 아소산은 지금도 용암이 분출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강종식 아무튼 실제로 분출이 계속되고 있는 활화산을 직접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 최초의 유기체가 삶을 유지했던 방법으로 두가지가 거론되고 있다. 첫째는 지금의
식물
처럼 광합성을 하거나 일련의 화학적 작용을 통해 스스로 유기물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유기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최초의 생물이 가졌던 기능으로 보기에는 부적합하다.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많다고 들었는데…. 대체로 서울의 온도보다 5~10℃ 정도 높았다. 어디를 가나 아열대성
식물
을 흔히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아소산 정상의 사정은 사뭇 달랐다. 두꺼운 파카를 입고도 추위를 느낄 정도였다. 찬 바람이 매섭게 느껴지는 '불의 나라'는 전체적으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그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그러므로 발가락과 발톱이 억세다. 그들은 땅을 파헤쳐 땅벌레를 찾아 먹기를 좋아한다.
식물
의 뿌리도 캐 먹는다. 그들은 풀씨나 곡식을 주로 먹지만 때로는 연체동물 파충류 등을 잡아먹기도 한다.꿩은 몸에 비해 빈약한 날개를 갖고 있으므로 멀리 날지 못하고 '푸드득'거리며 난다. 창공을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세척에 사용하는 물질이 정제된 순수한 물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장에 쌓인 음
식물
찌꺼기를 제거해 주면 변비는 물론이고 다른 질병까지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반대의 목소리 또한 만만찮다. 고려대 의대 박영대교수(내과)의 얘기를 들어보자."장세척은 그동안 대장의 ... ...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확보하기 위해 뗏목 등을 연못에 띄우고 돌과 흙으로 메운 뒤 여기에 야채를 비롯한 여러
식물
을 심어 길렀다. 아스테카사람들은 이것을 치남파스(Chinampas)라고 불렀다.그러나 주변국들을 점령함으로써 영토가 확장되고 그에 따라 농토를 확보하게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경작에 종사하게 된다. ... ...
개기일식 전과정 사진 공개 동
식물
이 숨죽이는 90초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990년 7월 핀란드 요엔수 지방에서 관측됐던 개기일식(皆旣日蝕)의 완전한 사진이 공개됐다. 공개된 여섯장의 정지(still)사진은 헬싱키 동쪽 11㎞ 상공에서 항공촬영한 것.이번 개기일식은 수천명의 관광객과 아마추어천문가 천문학자들이 숨죽이며 지켜보는 가운데 7월22일 일요일 새벽 4시에 일어 ... ...
동물체 내에 유전자 주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있는 듀크대학의 과학자들은 그동안
식물
세포에 DNA를 직접 집어넣는 유전자총을 개발해왔는데, 최근 이를 개량해 살아있는 새앙쥐의 채내에 유전자를 주입시키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장차 인간 몸속의 측정부위에 약을 투입하거나 유전병을 치료하는데 크게 이용될 것으로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