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
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새로 합성한 탄수화물보다 더 빨리 분해된다.이러한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되면
식물
에게 굶주림이 찾아올 것이다. 광합성을 하지 못한
식물
의 굶주림은 차가운 온도가 물질수송을 방해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찬 날씨때문에
식물
의 이동통로가 쇠약해지기 때문에 물질수송이 방해를 받는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새들도 있다.또한 곤충을 가둔 후 소화시키는 식충
식물
이 있는 반면 역으로 그런
식물
을 먹는 방법을 터득해서 잡아먹힐 일에 전혀 신경을 쓰지않는 곤충들도 있다.내게 가장 신비스러운 것은 인간에겐 잔인하도록 살인적 효과를 지닌 '아마니타'속(屬)의 독버섯 유형이다. 사실, 그중 '아마니타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사육시설, 의약품 제조실, 식품양조 가공실 등이 이에 속한다.셋째로는 사람 동물 및
식물
이 위험한 박테리아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오해저드(biohazard)에 대비한 클린룸이다. 바이오해저드란 병원체나 이에 감염된 동물의 연구가 인간 및 생태계에 주는 생물재해를 말한다. 유전공학,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초순에 최초의 생명(원핵생물)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으며 11월 중순에는 광합성을 하는
식물
이 출현했다. 곧이어 핵을 가진 최초의 생물도 모습을 드러냈다.우주력 1초는 5백년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체의 역사는 대부분 12월 중순 이후에 이루어진다. 사실 12월이 돼서야 대기중의 산소가 풍부해지기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가 미생물을 발견하면서 논쟁이 다시 일었다. 실제로 이러한 작은 생물체는 썩은 음
식물
등에서 자연발생하는 것처럼 생각됐다. 이를 보고 이탈리아의 신부 스팔란니(Lazzaro Spallanzani)는 미생물일지라도 자연발생되지 않음을 입증하려고 노력했다.유리 플라스크에 고기국물을 넣고 끓인 다음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
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표본을 갖고 수준높은 연구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데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북한의 동
식물
연구나 남북한 비교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합니다. 오늘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남북간의 연구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합니다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구상에서 멸종됐던 생물들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지구역사상 1천만종 이상의 동
식물
이 출현했지만 현재 존재하는 종은 1백만종 정도에 불과하다. 인간의 두뇌는 유례없는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룩했으나 거꾸로 환경파괴 핵전쟁 등 인류의 존재자체를 부정하는 결과를 낳을지도 모른다.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여기서 출발한 환경오염의 범국민적 감시가 필요한 것이다.그런 의미에서 우리 주위의 동
식물
이 살고 있는 상태를 지표로 삼아 오염의 정도를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개 울창한 산림지대에서 서식하나 때로는 1천m 이상의 고지에서도 발견된다.주로
식물
의 열매나 과일을 쪼아먹지만 벌레를 잡아 먹기도 한다. 때로는 작은 동물의 사체를 뜯어먹기도 한다.찌르레기과에 속하는 새들은 보통 나무 동굴에 둥지를 튼다. 그러나 옆면에 출입구가 있는 공모양의 둥지를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오래 피어 있는
식물
을 뜻한다. 대개 이상
식물
은 교배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안타깝게도
식물
세계에서도 제로섬의 원칙이 적용돼 이상화작업을 더디게 한다. 다시 말해 한쪽을 개선시키면 다른 쪽에 문제가 발생하곤 했다. 그러나 유전공학자들은 비(非)제로섬원칙을 고수하면서 푸른 장미, 이상적인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