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너무 차갑거나 혹은 뜨겁거나 둘 중 하나가 아니다. 물곰이라고 불리는 벌레 ‘완보동물(이하 물곰)’는 몸길이가 0.1~1mm에 불과하지만 영하 270C ... 분석했다.부스비 박사는 “TDPs를 이용하면 가뭄에서 작물을 보호하거나 약물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16/j.molcel.2017.02.01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함께 범죄 피해 아동의 수사면담에 로봇을 중개자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방 안에 아동과 로봇만 남겨 수사면담을 하는 방식이다. 이 때 사람 경찰관은 뒤에 숨어 CCTV나 유리창으로 관찰하면서 로봇을 원격 조종한다. 이른바 ‘로봇 포렌식’이다.원격 조종 로봇으로 ... ...
- [Photo] 우주는 사랑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안에 들어가서 촬영했다.인간이 만든 거대 구조물인 남산타워와 보름달이 하나의 구도 안에 대비되면서 잠시나마 초현실적인 느낌에 빠져볼 수 있다.▲위 (지구와 우주 / 그림 부문 은상) 우주가 그린 그림 조강욱, 오클랜드의 초하루 달살면서 쉽게 볼 수 없는 초하루 달.오클랜드는 한국의 도시와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들어갔다. 세계적인 이론물리학자 구보 료고 교수의 연구실에서 자성을 띠는 금속(자석) 안에서 일어나는 전자의 움직임을 연구했다. 대학원 입학은 늦었지만, 그는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구보 교수와 선배 이즈야마 타케오와 함께 1961년 교토에서 열린 국제자기학회에서 ‘이즈야마-김-구보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집이 어려우므로 잘 마른 먼지들로 모은다. 2장 혹은 3장의 지퍼백을 뒤집고 그 안에 자석을 넣어 장벽을 만든다. 지퍼백을 여러 장 겹치는 이유는 먼지가 자석에 붙는 사이에, 만에 하나 지퍼백이 손상되면 자석에 직접 달라붙은 먼지들을 분리하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지퍼백으로 감싼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달 동안 비치발리볼 경기를 한다고 하니까요. 건물의 모든 층에 테라스가 있어서 연구소 안에서 바다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도 참 부럽습니다. 테라스 공간은 연구원들이 가장 사랑하는 장소라고 합니다. 아침에는 차를 마시고 점심에는 식사를 하고 저녁에는 간단히 와인을 마시는 낭만이 ...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40282). 오 선임연구원은 “기존보다 세 배 이상 분해능이 좋아진 것”이라며 “앞으로 3년 안에 세계 최고 수준을 따라잡고, 넘어서겠다”고 말했다.새인지 드론인지 밝혀 줄 인공지능이 관건멀리서 날고 있는 새를 비행체로 착각하면 어떻게 될까. 문 센터장은 “기계와 새의 비행은 분명 차이가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똑같은 강도의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하자. 한 명은 연령 가속화 속도가 상위 5% 안에 포함되고, 다른 한 명은 평균치다. 이 경우 첫 번째 남성은 향후 10년간 사망할 확률이 75%로 높은 반면, 두 번째 남성은 60%로 낮다. 호바스 교수는 “영양적으로도 훌륭한 식단을 따르고 있고, 적당한 운동과 ... ...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빛을 발한 사례를 하나 더 소개할게요. 바로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3차원 공간을 안과 밖으로 나누는 이 구는 직관을 비껴가는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고무고무 박사의 위상수학 실험실Part 1. [첫 번째 실험] 바지 입은 채로 팬티 갈아입기Part 2. [두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플라스마가 만들어진다는 신호를 얻었다. Q 한국 연구진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안티노리: 현재 한국에서는 8개 기관의 연구자 45명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지금 ALICE 검출기 성능을 개선하고 있는데, 중요한 검출기를 한국 연구진이 만들고 있다. 어떤 입자가 들어오는지를 알아내는 장치다.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