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코드마스터] 컴퓨터가 내 몸 속 비밀을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약 30억 쌍 정도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어요. 한 쌍에 1초씩 보더라도 다 살피는 데 약 95년이 걸리는 어마어마한 숫자랍니다.다행히 이 가운데 단백질을 만들어 몸의 구성과 유지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는 10만 개 정도예요. 하지만 각 유전자의 형태뿐만 아니라, 유전자 속에 담긴 정보를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특정 지역에서는 처음 발견된 종.그렇다면 신종을 찾고 분류하는 일이 왜 중요할까요? 만약 우리가 이름도 존재도 모르는 어떤 생물이 멸종해 버렸다면, 우린 그 생물이 멸종했다는 사실도 모른 채 지나가 버리게 돼요. 멸종한 생물이 생태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알 수 없으니 그 후 생태계가 갑자기 ... ...
-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는 노래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에 노래했던 ‘베가비스 이아아이’랍니다. 저는 중세대 말인 약 6600만 년 전에 멸종한 조류로, 지금의 오리나 거위와 비슷하게 생겼어요.예전에는 과학자들이 백악기에 공룡만 살았을 거라고 생각했지요. 그런데 2005년에 제가 발견되고 나서 백악기에 저처럼 오리같이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나무의 열매로, ‘말밤’이라고도 불러요. 예전에 말이 숨을 헐떡일 때 치료약으로 먹였으며, 밤과 닮아서 ‘말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칠엽수는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5~7갈래로 갈라져서 난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어요. 20~30m 높이로 자라며, 잎이 커다랗고 무성하게 나서 우리나라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저(著)’예요. 저(著)는 ‘나타나다’와 ‘붙다’라는 두 개의 뜻을 갖고 있었는데, 약 1000년 전에 둘을 구분하기 위해 착(着)이라는한자가 만들어졌죠.착(着)은 ‘양 양(羊)’과 ‘눈 목(目)’이 합쳐져 만들어졌어요. 양들은 날씨가 추워지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붙어서 지내요. 이렇게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똑같이 갖고 있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게다가 다른 진핵생물들보다 인간과 유전자가 약 1.2% 더 닮았다는 사실도 밝혀냈답니다! 우리 집에 놀러가지 않을래? 사실 연구팀은 우리 안경원숭이들만의 독특한 생리와 해부학적인 특징, 수유 행동에 대해 알고 싶어 연구를 시작했어요. 열심히 연구를 하던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수보다 많다고 하니, 나와 같은 홍채 모양을 가진 사람은 거의 만날 수 없는 거예요. 만약 경우의 수가 가장 많은 고유 정보 DNA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보안이 가장 뛰어난 생체인식 기술이 될 거예요.GIB1. 대상 : 생체인식에 대해 알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내 몸이 열쇠가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수보다 많다고 하니, 나와 같은 홍채 모양을 가진 사람은 거의 만날 수 없는 거예요. 만약 경우의 수가 가장 많은 고유 정보 DNA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보안이 가장 뛰어난 생체인식 기술이 될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 ...
- [창간 12주년 인터뷰] 리틀 뉴턴 이끄는 열혈 과학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우리 친구들이 사회에 나가 리더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애들이 저랑 평생 계약했대요. 이 친구들이 졸업해도 계속 연락하며 멘토 역할을 해 주고 싶어요. 내년부터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열심히 해 보려고요. 민물고기 외에도 개구리, 제비, 매미 등 다양한 생명을 지키고 연구자의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쏙 내밀고 갯벌 표면에 있는 유기물을 걸러 먹어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서죠. 만약 먹이를 먹던 중에 포식자에게 잡혔다면 방속에 있는 수많은 다리들이 방벽을 꽉 붙잡고 버틸 수도 있어요. 한편 배설을 할 때는 방 속에서 몸을 돌려 몸의 뒷부분을 굴밖으로 내민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