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말미잘의 먹이를 유인하며 함께살아가는 거예요.▼ 확대 융합 개념 파헤치기기생충이 약이 된다고?함께 살아가지만 한쪽만 이익을 얻는 관계를 ‘기생’이라고 해요. 참나무와 겨우살이가 그 예지요. 겨우살이는 참나무 줄기에 뿌리를 내리고 물과 영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산답니다. 이런 생물을 ... ...
- Part1. 반려견 늘고, 유기견도 늘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지난해에만 동물 보호소로 구조된 유기동물의 수는 8만 마리가 넘어요.그 중 반려견은 약 6만 마리로, 전체 유기동물 중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요. 동물보호단체는 구조되지 않은 유기견까지 포함하면 한 해 동안 버려지는 반려견이 10만 마리를 훌쩍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특히 여름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수도사 주세페 피아노가 첫 번째 소행성인 ‘세레스’를 찾아낸 이후, 지금까지 약 45만 개의 소행성이 발견됐어요. 이들은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 머물러 있어요. 이 밖에도 목성의 공전 궤도와 태양계 카이퍼 벨트에서도 소행성 무리가 발견됐답니다.그런데 소행성대에 ... ...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소행성이 충돌한 곳으로, 지금은 땅 속 지층 깊숙이 크레이터가 숨겨져 있지요.연구팀은 약 2주간 작업한 결과 1500m 깊이까지 땅을 뚫고, 기둥처럼 층층이 쌓인 암석 표본을 꺼낼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이 암석 표본을 조사해 충돌 당시에 얼마나 큰 에너지가 얼마나 많은 암석을 공중으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빠지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벽이 무너지고 말 거예요. 생물도 마찬가지예요. 지구에는 약 200만 종의 생물이 살아가고 있어요. 이 중 일부 생물이 하나 둘 없어지다 보면, 결국 전체 생물이 모두 위험해질 수 있지요. 즉, 여러 생물이 다 함께 살아야 전체 생물이 모두 건강하게 살 수 있어요.게다가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찾아온다는 거지요.작은 소행성도 위험해?2013년 미국과 멕시코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약 1만 4900년 전 지구가 갑자기 추워진 원인이 소행성 충돌이라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당시 이 지역 대기권에 소행성이 충돌하며 폭발한 결과, 엄청난 양의 열이 북아메리카 대륙의 빙하를 한꺼번에 녹여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설명한 블로거의 설명에 동의한다”고 밝혔어요. 또 상명대 화학과 강상욱 교수는 “만약 그레이 다카의 실험 결과가 사실이라면 온도를 측정한 시각, 유리보다 낮은 페트병의 열 전도성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와이즈가 촬영한 사진으로 소행성을 찾는 ‘니오 와이즈(*NEOWISE)’ 프로그램을 통해 약 15만 개의 소행성이 새로 발견되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근지구소행성 관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요. 한국천문연구원의 ‘KMTNet’이 그 주인공이지요. KMTNet은 남반구에 위치한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수심 2000~4000m의 깊은 바다에 사는 귀염둥이 문어 ‘그림포텔우티스’라고 해. 만화 속에서 귀를 펄럭이며 하늘을 나는 코끼리, 덤보를 닮았다 ... 시대가 다가온다는 우리 아빠 말이 맞지? 후훗! 앞으로도 다양한 곳에서 놀라운 능력을 뽐낼 두족류의 활약을 기대해 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번 자전하면서, 일 년에 한 번 태양 주위를 공전해요. 반면 달은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약 27.3일로 똑같아요. 즉, 달이 스스로 한 바퀴를 도는 데 걸리는 시간과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은 거예요. 그래서 지구에서 는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보인답니다.이렇게 태양 주위를 도는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