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를 통해 일본 동쪽에 위치한 해구로부터 섭입하는 태평양판이 백두산 아래 심도 약 500~600km에 있는 상부맨틀과 하부맨틀의 전이대까지 깊숙이 들어가 만주 끝까지 뻗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들은 백두산 심부를 통과하는 지진파의 속도가 유난히 느리다는 사실에 착안해, 백두산 밑 상부 ... ...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재앙을 일으킬 수준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생각해 보세요. 약 14개월마다 재앙이 일어난다고요? 물론 침수는 조심해야 합니다. 슈퍼문이 뜨는날엔 만조 시 해수면이 평소보다 19%까지 상승할 수 있으니까요.슈퍼문이 뜨면 환자가 늘어난다?오래 전 서양에는 보름달의 강한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가장 빽빽하게 몰려 있는 망막을 관찰했다. 그리고 혈관의 프랙탈 차원을 계산했더니 약 1.7이었다. 이 값은 하천이나 나뭇가지보다는, 유리창 한가운데를 세게 내리쳤을 때 깨지면서 생기는 금과 비슷하다. 중력이나 햇빛처럼 한 방향을 따라 가지를 친 게 아니라, 사방팔방으로 수많은 혈관들이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동안 지원 사업을 펼친 결과로 기업들은 총 14건의 특허를 출원했고, 전체 기업의 매출도 약 257억 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지난 12년 동안의 지원 사업 결과를 분석했을 때도 개발 기간과 비용 면에서 모두 50% 이상 절감하는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학계에 보고된 ...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분류해 발표하고 있어요. 가장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관심필요종, 취약근 접종, 취약종, 위기종, 위급종, 자생지절멸종, 절멸종으로 나누는 거예요. 또 7등급으로 나눈 동물들의 목록을 ‘적색목록’이라고 하며, 특별히 관리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사라져가는 생물을 지켜라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실제로 공룡을 되살리는 건 불가능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지요.그런데 공룡이 아닌 약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를 되살리는 일은 가능할 수도 있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 조지 처치 교수팀이 매머드 화석에서 유전자를 뽑아내 아시아 코끼리의 유전자에 이식하는 ‘매머드 부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노벨 물리학상 상금은 어떻게 나눠 가질까?노벨 물리학상 상금은 총 800만 크로나, 한화로 약 10억이다. 그런데 수상자가 세 명이라면 상금은 어떻게 나눠 가질까?결과부터 말하면 데이비드 사울리스 교수가 상금의 절반인 400만 크로나를, 그리고 코울리츠 교수와 허데인 교수가 남은 상금의 절반씩 20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다음, 내년 1월 1일부터 사업운전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미 글로벌 바이오기업과 제약 연구소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에 관심이 높다. 포스텍과 국내 바이오벤처기업인 제넥신이 세운 합자회사는 이를 활용해 자궁경부전암 치료제를 만드는 연구를 계획 중이다.이번에 지은 4세대 가속기는 길이가 1.1km,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전등갓에서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면서 공간을 밝힌다. 현재 로라인 랩에서는 70여 종 약 3000개체의 식물을 태양빛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기르고 있다.미래도시 꿈꾸는 지하도시지하도시를 개척하는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는, 우주를 탐사하려는 이유와 맞닿아 있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분류해 발표하고 있어요. 가장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관심필요종, 취약근 접종, 취약종, 위기종, 위급종, 자생지절멸종, 절멸종으로 나누는 거예요. 또 7등급으로 나눈 동물들의 목록을 ‘적색목록’이라고 하며, 특별히 관리한답니다. GIB ○ 빠른 멸종은 사람 탓 생물이 멸종하는 건 어쩌면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