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1000년 전 지구 전체에 기후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큰 분출을 일으켰고, 폭발 주기가 약 100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백두산의 마지막 분화는 1903년.어쩌면 임박했을지 모르는 다음 폭발에 대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Part 1.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시추 제안서를 냈다. 프로젝트 이름은 ‘엄마(Ultra Deep Monitoring for Magma Activity, UMMA)’다. 만약 성공하면 분화할 가능성이 높은 대형 화산의 땅 속 마그마가 있는 깊이까지 구멍을 뚫은 최초의 사례가 된다.다행히 외국의 저명한 화산학자들도 백두산 연구에 관심이 많다. 백두산의 학술적 특수성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두 배 더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휴대 가능한 진단키트를 배포하자 어린이가 늦지 않게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됐다.연구를 이끈 NIH 포카티국제센터장 로저 글라스 박사와 미국 글로벌에이즈코디네이터 데보라 벅스 대사는 논문을 통해 “HIV 신규 감염을 줄이는 도구를 우리는 이미 갖고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일어나는 축을 당시 유행하던 정치 용어에 빗대어 ‘악의 축’ 이라고 불렀다. 만약 이 가설대로 우주가 특정한 축을 기준으로 진화했다면, 한쪽 방향에서는 은하가 더 적게 생성되고 다른 방향으로 가면서 더 많은 은하들이 생성되는 방향성을 보여줬을 것이다. 우주 등방성 문제, 영원한 미제로 ...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증거를 찾지 못했어요. 움직이는 돌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남겨진 1915년부터 약 100년 동안 사람들은 이 돌이 왜 움직이는지에 대한 비밀을 밝혀내지 못했죠. 심지어 외계인이 돌을 밀어 움직이게 한다는 얘기가 생길 정도로 궁금증은 커져만 갔답니다.그러던 중 2014년에 드디어 비밀이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나라 땅의 넓이와 기후 등을 고려해 생물 종의 수를 계산해 본 결과, 약 10만 종 정도의 생물이 살고 있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답니다.그 중 우리나라에서 법으로 보호하고 있는 멸종위기종은 모두 246종이에요. 1989년에 처음으로 92종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한 이후, 조금씩 더 많은 생물을 ... ...
- Part 4. 금연, 온가족이 함께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담배를 피우고 싶은 충동이 들게 하지요.이러한 과정은 어떤 행위에 중독되었거나 마약을 했을 때와 똑같아요. 그래서 오랫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짜증이 나는 등 금단증상을 느끼게 돼요.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되는 거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 ...
- [수학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여러분은 우울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맛있는 음식을 먹는 사람도 있고 노래를 부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듀크대 연구팀이 암산을 하면 우울함과 불안감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대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감정적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 간단한 설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안내 메일이었다. 게리 터크가 ‘아르파넷’이라는 전산망을 이용해 보낸 스팸메일은 약 400통 정도였다. 이후 봇넷이 스팸메일을 보내는 데 쓰이기 시작했고, 웜이 개발되면서 더욱 많은 컴퓨터를 조종하는 봇넷이 생겨났다. 그러면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스팸메일의 수도 늘어난다.2008년에 등장해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박자, 음색이 조화를 이뤄야 음악이 됩니다. 아름다운 음악은 굉장히 수학적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수학을 좋아한다면 음악을 잘할 확률이 높습니다. 반대로 음악을 좋아한다면 수학도 잘할 수 있답니다. 세 번째 미션을 통해 음악이 수학적이라고 말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세요.네 번째 미션,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