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정말 매력적이다. 끊임없이 새로운 통찰과, 우리의 삶을 개선하는 혁신을 얻는다. 만약 여러분이 (입자물리학이 아니라도) 과학자가 된다면, 무언가 새로운 것을 최초로 알아내는 사람이 될 기회가 많다. 그건 정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특별한 느낌이다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중앙해령지역에서 1만km2 규모의 해저 열수광상 광구를 단독으로 탐사할 수 있는 계약을 국제해저기구(ISA)와 체결하고도 적극적인 연구를 하지 못했다.이제는 이사부호가 가서 심해무인잠수정 ‘해미래’를 내려 탐사할 수 있다. 모선의 위치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다이나믹포지셔닝(DP) 기술과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모든 부분은 다시 지구로 귀환한다. 이들이 계획한 발사 비용은 한번에 6200만 달러(약 703억6400만 원)로, SLS 로켓의 5억 달러(5674억5000만 원)의 10분의 1 수준이다.워낙 신기술이 많이 투입되다 보니 학계에서는 정말 실현 가능할지 의견이 분분하다. 일단 엔진 42개를 클러스터링(여러 엔진을 묶어 한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린 강이 흐르는 유타, 와이오밍, 콜로라도 주의 산간 분지 지역이다. 이 넓은 퇴적층은 약 5000만 년 전 신생대 에오세에 다양한 퇴적물이 산간 호수에 쌓이면서 형성됐다. 특히 건기와 우기에 따라 쌓이는 퇴적물이 달라서, 어둡고 밝은 지층이 얇은 두께로 번갈아가며 나타난다. 수백만 년에 걸쳐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무서운 장면이 나타나기 약 10초 전에 전대상피질(ACC)이 활성화됐다. 이 부위는 무엇인가 집중하거나 충동적으로 내리는 결정을 담당한다. 모스브릿지 박사는 “전대상피질은 가까운 미래에 또는 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일어날 수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추정해 보면, 지난 2000년 동안 규모 6.7의 큰 지진은 약 20회, 5.0 이상의 지진은 약 350회 발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라고 믿은 것은, 계기관측을 시작한 1904년 이후 큰 지진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역사 기록에는 큰 지진이 많이 등장하는 만큼 역사지진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버섯이 자라고 있어요. 특히 국립수목원이 있는 광릉숲에는 우리나라 자생버섯 가운데 약 30%인 700종이 자라고 있답니다. 식용으로 쓰이는 버섯들뿐만 아니라 밤에 빛나는 화경솔밭버섯, 바구니를 짠 것처럼 생긴 노랑망태버섯, 폭탄처럼 터지며 포자를 흩뿌리는 먼지버섯 등 신기한 버섯이 가득해요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노벨 물리학상 상금은 어떻게 나눠 가질까?노벨 물리학상 상금은 총 800만 크로나, 한화로 약 10억이다. 그런데 수상자가 세 명이라면 상금은 어떻게 나눠 가질까?결과부터 말하면 데이비드 사울리스 교수가 상금의 절반인 400만 크로나를, 그리고 코울리츠 교수와 허데인 교수가 남은 상금의 절반씩 20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실제로 공룡을 되살리는 건 불가능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지요.그런데 공룡이 아닌 약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를 되살리는 일은 가능할 수도 있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 조지 처치 교수팀이 매머드 화석에서 유전자를 뽑아내 아시아 코끼리의 유전자에 이식하는 ‘매머드 부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박자, 음색이 조화를 이뤄야 음악이 됩니다. 아름다운 음악은 굉장히 수학적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수학을 좋아한다면 음악을 잘할 확률이 높습니다. 반대로 음악을 좋아한다면 수학도 잘할 수 있답니다. 세 번째 미션을 통해 음악이 수학적이라고 말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세요.네 번째 미션,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