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출신인 그는 1995년 15세의 어린 나이에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브라질의 연구기관인 ‘순수응용수학원(IMPA)’에 들어가 21세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번 필즈상 수상을 계기로 브라질 국민들이 축구선수가 되는 것만큼이나 수학자가 되는 것을 ... ...
- ‘진짜’ 별에서 온 그대, 태양계 밖 먼지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장치에 입자가 충돌하면서 남긴 흔적이나 부착된 입자를 모으는 식이었다. 연구팀은 이후 지상에 돌아온 스타더스트에서 측정장비를 분리해 입자를 추출한 뒤 충돌 궤적, 성분, 결정 구조, 크기 등을 상세히 분석했다. 약 3만 명의 네티즌이 참여한 집단지성 프로젝트 ‘스타더스트앳홈’ 역시 입자 ...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원인은 무엇일까.석촌동 싱크홀8월 5일 처음으로 석촌동지하차도 인근이 무너져 내린 이후 총 7개의 동공이 발견됐다. 이 지역은 지하철 9호선 3단계 연장 공사가 진행되는 곳으로, 서울시는 ‘석촌동 싱크홀’ 사태가 지하철 공사 때문이라고 잠정 결론내렸다. 발견 2014.8.5 폭 2.5m 깊이 5m 길이 8m 발견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국방부, 정보부, 기업 등 많은 곳에서 관심을 갖는 것이 당연하다. 이후 지난 20년간 양자컴퓨터는 물리학을 이끌어 온 가장 중요한 동력 가운데 하나였다.양자컴퓨터의 가장 큰 특징은 중첩상태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동시다발적 계산이 가능하다. 그루버가 발견한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구하는 문제다. 이 문제는 1870년경에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가 처음 제시했다. 이후 영국의 수학자 드 모르간부터 독일의 수학자 데이비드 힐베르트까지 수많은 수학자들이 증명을 시도했지만 오류가 없는 명쾌한 증명은 쉽게 나타나지 않았다.그러다 1960년대에 힐베르트의 제자였던 독일의 ...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후에 알았어요. 따라서 학창시절에는 필즈상 수상을 꿈꿔 본 적이 없어요. 대학생이 된 이후에도 필즈상을 목표로 공부한 적은 없어요. 수학의 세계를 깊이 탐구하는 것이 재미있어서 지금까지 연구에 몰두했던 것인데, 운 좋게도 필즈상 수상이라는 영광까지 얻게 된 거죠.세계 굴지의 헤지 펀드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증명은 프랑스의 수학자 달랑베르가 1746년에 증명을 발표했으나 방법이 부족했다. 이후 1749년에는 오일러가, 1772년에는 라그랑주, 1795년에는 라플라스가 증명을 발표했으나,결국 증명은 1799년 가우스에 의해서 완성되었다.한편 또 다른 관심사는 ‘5차 방정식’이었다. 수학자들은 5차 방정식을 풀기 ...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대가로 유명한 미국의 에드워드 위튼이 1990년 물리학자로서는 이례적으로 필즈상을 받은 이후 수학과 물리학의 경계는 차츰 허물어지고 있다. 빌라니는 지난 대회 시상식에서 “물리학과 수학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라며 “다른 분야의 과학자나 공학자와도 교류해야 수학을 잘 할 수 있다”고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초파리 유전학을 창시한 모건이 화이트(white)라는 흰눈 초파리 돌연변이를 최초로 분리한 이후 50년간 유전학의 발견은 초파리가 선도했다. 행동유전학도 초파리와 함께 같은 길을 걷고 있다. 초파리 연구자인 휴고 벨렌의 말을 마지막으로 들어보자.“역사는 반복되기 마련이지만, 초파리 연구가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광물, 호박에서 처음 발견됐다. 영화 ‘쥐라기공원’이 아예 근거가 없진 않은 셈이다. 이후 몇 개의 조상 화석이 더 발견됐는데 모두 현재의 모기와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오랜 시간 지구에 살아남은 모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흡혈 대상을 공룡에서 포유류로 갈아탔다.26일이면 새로운 모기가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