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가장 강력한 용의자는 농업이었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엘리트 그룹이 1만500년
이후
에 나타났다고 주장해왔다. 교과서에 나온 것처럼 정착 생활을 하고 농업을 시작하면서 잉여농산물이 생겨났고, 결국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자원을 차지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들이 ‘원조 1%’인 ... ...
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 세상에 당할 자 있을까보냐~!”지구를 지키는 거대로봇 ‘태권브이’는 1976년 개봉
이후
인류구원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로봇공학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태권브이처럼 강한 로봇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그리고 2014년. 세월호 참사 등 여러 재난현장에 등장한 로봇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뒤이어 달려든 방위군의 공격에 외계인 부대가 전선에서 퇴각하기 시작했다. 전쟁
이후
처음으로 보는 광경이었다.“정말 턱없는 생각을 해냈네요.” 사령부에서 전장을 지켜보고 있던 연민영 박사는 어이없다는 듯 말했다. “그래. 덕분에 지금까지와는 전쟁의 모습이 좀 달라지겠지.” 김전우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개 이상일 때 행성의 궤도는 어떻게 되는가’이다.이를 ‘3체 문제’라고 하는데, 뉴턴
이후
수백 년 동안 수많은 수학자들이 도전했다 실패한 난제 중의 난제다. 샤를-유진 들로네라는 수학자는 태양 - 지구 - 달 계를 공략해서 복잡한 급수의 형태로 900쪽에 달하는 근사적인 공식을 만들었지만 ... ...
[과학뉴스] 8월, ‘슈퍼문’이 돌아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8월 10일 가장 큰 보름달인 ‘슈퍼문’이 돌아온다. 지난 2013년 6월 23일
이후
거의 1년 만이다.슈퍼문은 지구에 가장 근접하는 보름달로, 가장 크게 보인다. 지구와 달 사이 거리가 달라지는 것은 달이 지구를 타원궤도로 돌기 때문. 올해 슈퍼문은 8월 10일 오후 6시 52분에 떠서 다음날인 11일 오전 6시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것은 2008년이다. 그녀가 우주에 다녀온 것은 비교적 최근 일이지만 그녀가 우주여행
이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에서 맞닥뜨려야 했던 삶은 초기 우주비행사와 무척 비슷했다. 아폴로 비행사와 마찬가지로 그녀에게 다음 비행은 없었다. 다음 한국 우주인에 대한 계획도 기약이 없었다.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발견이 될 것이다. 이것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생물학, 과학의 재미기도 하다.삼엽충
이후
로 지구에는 눈을 가진 다양한 생물들이 등장해 지금의 복잡한 생태계를 이뤘다. 그래서 우리는 눈을 가진 생물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빛이 아닌 냄새나 소리 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생물들이 ... ...
“당신 인생 속의 χ”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저자가 실용적이라는 말의 뜻을 모른다는 데 기말고사 성적을 모두 걸고 싶어졌다.그
이후
여러 수학책에서 거창하게 수학으로 인생을 해석하겠다고 할 때마다 별로 기대하지 않았다. 카누를 타고 강을 거슬러 오르는 사람들이나(카누를 만든 오세아니아인도 이제 카누를 타지 않는다) 꽃을 심기 ... ...
장기 괴담, 모조리 씹어먹어 줄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섬노예처럼 인신매매와 관련된 이야기 일부는 사실로 드러나기도 했지요. 그
이후
에는 좀 더 발전해서 사람을 납치해서 장기를 적출한다는 도시전설이 나타났습니다. 아마 많이 들어 봤을 겁니다. 해외여행 중에 낯선 사람이 권하는 음료수를 마시고 정신을 잃었는데, 깨어나 보니 어딘지 모르는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코어) 하나가 완성됐다. 올해만 23개를 확보하는 게 목표다. 노희명 교수는 “지구온난화
이후
이곳을 어떻게 관리하고 보존할지 연구하는 데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민 극지연 연구원도 “동토에서 온실가스를 만드는 미생물을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알래스카 프로젝트는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