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혈소판, 지시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나 과학마녀 일리! 오랫동안 이어진 장마가 끝나고, 오랜만에 야외활동으로 하러 밖에 나왔어! 앗! 그런데 신난 나머지 뛰어놀다 넘어졌어. 무릎에서 피가 철철 흐르는데, 누가 좀 멈춰줘…! 혈소판(血小板) 우리 몸을 순환하는 혈액은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이뤄져 있어요. 이 중 혈소 ... ...
- [질문하면 답해 ZOOM]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 Q.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현서 (hyeonseolee09)A. ... ...
- 우리 회사는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풍덩!”물에 빠진 우주선 한 대가 배 위로 건져 올려졌어요. 무슨 사고라도 났던 걸까요? 이 우주선의 정체는 미국의 민간 항공우주업체인 스페이스X에서 만든 우주선 ‘크루드래건’이랍니다. 국제우주정거장에서 63일 간의 여정을 마치고 지난 8월 2일에 지구로 돌아왔죠. 사람들은 물에 빠진 ... ...
- 열려라, 우주 개척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크루드래건의 성공적인 비행은 ‘민간 우주 비행 시대’를 여는 서막이라 할 수 있어요. 실제로 이미 많은 민간 항공우주업체들이 더 먼 우주로 뛰어들고 있지요. 이들은 과연 우주를 어디까지 개척할 수 있을까요? 스페이스X, 화성으로 가나?스페이스X의 CEO, 일론 머스크는 올해 초 SNS를 통해 “20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올해 3월, 특이한 노란색 호박 화석 하나가 학술지 ‘네이처’의 표지를 장식했어요. 이 호박 화석 안에 들어있던 조그만 동물 머리 하나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작은 공룡의 머리라는 연구 때문이었죠. 그런데 최근 ‘오쿨루덴타비스 카운그라에’라는 이름이 붙은 이 화석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 ...
- [한장의 과학] 차별이 담긴 천체 별칭 없앤다! NGC 2392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지난 5월 미국에서 백인 경찰이 비무장한 흑인 남성을 강압적으로 체포하다가 흑인 남성이 사망한 사건을 기억하나요? 이 사건은 미국을 넘어 전 세계적인 반인종차별 운동을 일으켰고, 다양한 방면에서 인종차별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어요.8월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차별적인 ...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잠시 머릿속으로 정자를 떠올려 보세요. 아마도 성교육 시간에 본 영상 속에서 꼬리를 힘차게 좌우로 움직이며 난자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생각날 거예요. 그동안 우리는 정자가 장어처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생각했어요. 왜냐하면 1677년 네덜란드 과학자 레벤후크가 ... ...
- [만화뉴스] ‘겨땀’ 냄새의 원인을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영국 요크대학교 미생물학과 개빈 토머스 교수팀은 액취증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효소 물질을 발견했다고 7월 28일 발표했어요. 액취증은 겨드랑이에서 악취가 나는 증상으로, 겨드랑이에 살고 있는 세균이 땀을 분해해 악취를 내는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나타나요. 연구진은 이전 연구를 통 ... ...
- [기획] 대벌레! 왜 이렇게 많은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대벌레는 사람의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깊은 숲속에 주로 삽니다. 그런데, 올해 왜 이렇게 많은 대벌레가 모습을 드러낸 걸까요? 거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운이 조금 좋았다고나 할까요…? 유난히 따뜻했던 겨울, 유난히 추웠던 봄!봉산에 대벌레 떼가 나타난 원인으로는 날씨, 천적,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핵물리학자는 핵과 같은 미시세계를 탐구하며 물질의 근본을 찾아왔어요. 가속기와 검출기로 물질을 쪼개 더이상 나뉘지 않는 기본입자가 무엇일지 알아내는 실험을 했지요. 오랜 실험 결과, 과학자들은 세계가 17가지 기본입자로 이뤄져 있다고 보는 ‘표준모형’을 제안했어요. 표준모형은 기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